외국인 관광객의 45%가 유커로 채워지는 현실에서 이는 관광내수산업에 큰 악재다. 지난해 598만명의 유커가 한국에서 쓰고 간 돈은 139억달러(약 15조원)에 달한다. 관광객이 20% 줄면 단순계산으로 3조원의 수입이 날아간다. 중국 정부는 ‘사회문제화된 저가관광을 정비하기 위해서’라고 이유를 밝히고 있다. 하지만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에 대한 대응일 수도 있기에 더욱 관심을 끈다. 엔터테인먼트산업 등에서 진행 중인 규제가 관광산업으로도 확대되고 있다는 얘기다.
예상한 대로 중국은 늘 이런 식이다. 사드 실전배치가 진전되는 데 비례해 추가조치가 나올 수도 있다. 비관세 장벽을 활용한 대응수위는 점점 올라간다고 봐야 한다. 상투적 수법에 호들갑 떨 필요는 없다. 중국은 WTO 회원국이고, 한·중 FTA도 발동 중이다. 한국 상품에 대한 차별은 쉽지 않다. 중간재를 한국에서 다량 수입해 가는 양국 간 분업구조에서 섣부른 보복은 자신들의 피해도 키우게 된다. 그러나 한국의 면세점 화장품 의류 등 내수산업에서는 중국의 영향력이 급증한 상태다. 다변화가 시급하다.
유커는 매년 40%씩 늘고 있지만 질적인 측면에서는 낯부끄러운 수준이다. 본지에서 누차에 걸쳐 지적한 바도 있다. 중국 여행사에 돈(인두세)을 주고 관광객을 구걸하는가 하면, 10만원대 덤핑상품까지 등장했다고 한다. 유커들을 싸구려 숙식과 ‘뺑뺑이 쇼핑’으로 돌릴 수밖에 없는 배경이다. 이런 관광은 한국의 이미지를 실추시키고, 한류에도 찬물을 끼얹는 부메랑이 될 뿐이다. ‘두 번 다시 가고 싶지 않은 관광지’ 1위에 한국이 꼽혔다는 말도 나온다. 쏟아지는 유커를 상대하며 형성된 거품을 줄여나갈 기회이기도 하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