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변종 바이러스 대응 기술 연구
교육부는 20개 사업단에 최대 10억
창의적 아이디어 상품개발 도와
[ 최승욱 기자 ] 정부가 마련한 2017년도 예산안이 처음으로 400조원을 넘어섰다. 이 가운데 교육 분야는 56조원 규모다. 정부는 사회 수요 맞춤형 창의적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을 지원하고, 대학 자율성 확대와 투자 효율성 제고를 위한 대학 재정지원 사업을 개편하기로 했다.
창의적 인재가 창출하는 힘은 상상을 뛰어넘는다. 구글과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을 보면 쉽게 확인된다. 우리나라가 치열한 세계 경쟁 속에서 살아남으려면 새로운 먹거리를 찾을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해야 한다. 인재들이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곳이 바로 대학과 국가다. 정부의 대학 지원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이유다.
다양한 대학 지원 사업
정부의 대학지원 사업은 다양하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심혈을 기울여 추진 중인 대형 국가연구개발 사업인 ‘글로벌프런티어사업’은 차세대 경제 성장동력을 창출할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미래 사회와 산업구도
변화에 대비하고 신산업 창출의 원천이 되는 기술을 개발한다는 것이다. 그 가운데 바이오나노헬스연구단은 신·변종 바이러스, 슈퍼 박테리아 등 바이오 유해물질에 대응하기 위한 원천기술과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특정 바이러스에 반응하는 유용 항원·항체 기술을 개발한다면 향후 유행 가능성이 있는 열대성 감염 질환을 신속하게 진단하고 백신이나 치료제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다.
교육부가 시행 중인 ‘대학의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 즉 브릿지사업은 대학이 보유한 혁신적인 아이디어의 실용화를 지원, 창조경제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부는 총 20개 사업단을 선정, 3년간 5억~10억원을 지원한다. 기발한 아이디어를 제품으로 탄생할 수 있게 도울 계획이다. 사업 수행을 통해 새로운 창업 분야를 창출, 청년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하는 에너지 인력사업은 에너지산업의 신성장동력화와 수출 산업화를 선도하고 에너지 인력 저변 확대 및 연구개발인력을 양성하는 프로젝트다. 국내 대학 중 최초로 한국형 마이크로 에너지 그리드 K-MEG 국책 사업에 참여하면서 국내에서 유일하게 직류배전 기술을 연구해온 성균관대 직류배전용 전력기기 설계기술 인력양성센터는 관련 분야 인력 양성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센터는 기업 맞춤형 인력을 양성하고 직류배전 인력양성 강화 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원 트랙인증 기준을 충족하는 대학원생들만 졸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전문성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의 RRC(전파연구센터)사업은 주파수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주파수 활용 기반을 구축하는 연구 ?수행한다. 미래부 RRC사업에 선정된 광운대는 전파기술 연구 및 산·학·연 협력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는 전파연구센터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열었다.
센터는 미래 통신의 기반이 되는 전파기술, 밀리미터파 RF(무선주파수) 빔포밍 회로 및 시스템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밀리미터파 빔포밍 원천기술은 5세대 이동통신의 핵심기술로, 향후 전파산업에 미칠 파급 효과가 상당할것으로 전망된다.
기술경영, 기술경제, 기술정책의 3대 분야 전문가들을 3대 축으로 한 학술 모임인 기술경영경제학회(회장 조현대)는 국가 과학기술정책과 기술개발 전략 수립, 과학기술 주도의 새로운 사회 개혁을 유도하겠다는 목표로 설립됐다. 기술혁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새로운 이론과 지식 개발, 보급에 진력해 학문 발전에 기여하고 산업 현장의 기술혁신 활동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면서 학제 간 연구와 정책 대안 제시로 경제 발전에 공헌할 계획이다.
체계적인 시스템과 장기적 지원 절실
학생들은 취업을 못해 애가 타고, 중소기업은 현장에서 일할 사람이 없어 애가 타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세계적 기업을 만들고 혁신적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인재를 키우는 것이다. 그 역할의 중심에는 대학과 정부가 있어야 한다.
대학은 창의적·현장 맞춤형 인재 육성과 기초연구 개발에 집중하고, 정부는 대학이 이런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꾸준히 지원해야 한다. 우수한 인력을 배출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과 장기적 지원이 절실하다.
정부는 내년에 대학지원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대학특성화·산학협력·대학자율역량 강화 등 4개 사업으로 통폐합하기로 했다. 선택과 집중에 나선 정부 정책이 효과를 보고, 대학 지원 사업이 제대로 진행되려면 긴밀한 사전조사와 사후 점검이 필요하다. 전망이 있는 사업에 대한 과감하고 지속적인 투자로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세계적 인재를 양성해 국가 경쟁력을 키우는 데 모두가 노력해야 할 때다.
최승욱 특집기획부장 swchoi@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