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금융시장'변곡점'맞았나
미국·유럽 주요국 국채금리 8월 이후 급등
유가 반등·미국경제 호조로 물가상승 압력
"디플레 국면이 인플레로 돌아서는 징후"
[ 뉴욕=이심기 / 이태호 기자 ] 27일(현지시간) 영국과 독일 등 유럽 주요국과 미국의 채권시장에선 국채 수익률이 급등(국채 가격은 급락)하는 ‘채권 발작(bond tantrum)’ 현상이 발생했다. 발단은 영국이었다. 이날 영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예상치 0.3%를 깬 0.5%로 나오자 길트(영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0.08%포인트 급등한 연 1.25%까지 치솟았다.
당초 영국 중앙은행(BOE)이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결정으로 인한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낮출 것으로 예상한 국채 투자자는 망연자실했다.
◆패닉에 빠진 채권 투자자
국채 투매 바람은 곧장 독일로 날아갔다. 이날 분트(독일 국채) 10년물 금리는 0.08%포인트나 급등하며 연 0.17%까지 상승했다. 뉴욕 시장에서도 미 국채가격의 기준이 되는 10년물 금리가 0.06%포인트 급등한 연 1.85%를 기록하며 지난 6월1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 ? 이는 월가 이코노미스트가 제시한 연말 전망치 1.75%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CNBC는 이날 선진국 국채금리 폭등이 2014년 이후 최대폭이라며 ‘발작’ 수준이라고 전했다.
한국의 국고채 금리가 두 달 이상 큰 폭(0.20%포인트 이상)의 상승세를 이어간 것은 2013년 이후 이번이 세 번째다. 2013년 5월부터 8월까지 벤 버냉키 당시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양적완화 축소’를 시사하면서 채권시장 ‘긴축발작(taper tantrum)’이 발생한 게 첫 번째다. 다음은 작년 10~12월 미국이 9년 만에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하면서 아시아 신용위기설이 확산하던 때다. 당시 금리 상승폭은 이번보다 작았다.
한 자산운용사 채권운용팀장은 “최근 금리 상승은 선진국들의 추가 양적완화 정책이 한계에 봉착한 상황에서 나타난 것이어서 과거의 상승과 성격이 다르다”며 “금리가 추세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까지 가세하면서 향후 금리상승 속도가 더욱 빨라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1.5%, 유로존은 0.4% 상승하면서 2014년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는 게 단적인 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미 국채(10년물) 금리가 올해 연 2%를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월가도 12월 기준금리 인상 확률을 80%로 예상하고 있다. 스탠리 피셔 미 중앙은행(Fed) 부의장도 최근 “인플레이션 속도가 과해질 수 있다”며 위험성을 지적하기도 했다.
◆국내 기업들 자금 조달 차질
미국의 기대 인플레이션율 상승은 蛋腑?원자재 가격이 주도하고 있다. 미국의 실업률이 5% 이하의 완전고용 상태를 유지하면서 시간당 임금이 상승하고, 국제유가가 배럴당 50달러 선에 안착하는 등 원자재 가격이 오르고 있다는 분석이다.
서부텍사스원유(WTI) 선물은 지난 19일 배럴당 51달러를 넘어서며 작년 7월 이후 1년3개월 만에 최고를 나타냈다. 블룸버그 원자재 지수는 전고점이던 2011년 4월과 비교해 지난 1월까지 58% 하락했지만 이후 9% 반등했다.
랭크 딕스마이어 알리안츠 글로벌 인베스터스 글로벌 채권 대표는 “인플레이션율 상승 신호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며 “이는 지금껏 채권시장이 가격에 반영하지 않았던 위험”이라고 말했다. 유럽의 경우 중앙은행(ECB)의 돈 풀기가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양적완화가 종료 수순을 밟을 것이란 관측까지 나오면서 국채 투매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국내에선 회사채 금리가 국고채보다 빠르게 상승하면서 우량 기업들조차 자금 조달에 차질을 빚기 시작했다. ‘AA+’(상위 두 번째) 우량등급을 받고 있는 삼성물산은 28일 5년 만기 회사채 2000억원어치를 발행하기 위해 투자자를 모집했으나 결국 100억원어치를 팔지 못했다. 금리 상승에 따른 채권가격 하락을 우려한 기관투자가들이 매수를 주저한 탓이다. 국내 ‘AA’ 등급 3년 만기 회사채 평균 금리는 이날 연 1.88%로 지난 8월 이후로만 0.34%포인트 급등했다.
뉴욕=이심기 특파원/이태호 기자 sgl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