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산업 전망] 공급과잉에 가격경쟁 심화…주력산업, 수출·생산·내수 모두 꺾인다

입력 2016-11-27 19:02  

산업연구원, 주력업종 기상도
조선 '폭우'·자동차 '매우 흐림'
정유·석유화학은 '맑음'
수출비중 1위 반도체 '흐림'

글로벌 보호무역 강화로
내년 수출 1.3%↑ 그칠 듯



[ 이태훈 기자 ]
국내 12대 주력업종의 내년 수출은 전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강화, 중국발(發) 공급과잉,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로 인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으로 좀처럼 회복되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다만 원유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며 정유 석유화학 등은 상대적으로 호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10개 주력업종 수출 저조

산업연구원은 27일 발표한 ‘2017년 경제·산업 전망’에서 12대 주력업종의 내년 수출 전망을 ‘매우 맑음’ ‘맑음’ ‘흐림’ ‘매우 흐림’ ‘비’ ‘폭우’ 등 6단계로 나눴다. 올해 대비 수출 증감률이 0~5%면 ‘흐림’, -5~0%면 ‘매?흐림’으로 각각 표시했다. ‘비’는 -10~-5%, ‘폭우’는 -10% 이하다.

12개 업종 중 10개 업종 전망이 어두웠다. 조선은 공급과잉 지속으로 올해보다 수출이 13.1% 줄어 날씨에 비유하면 ‘폭우’에 해당됐다. 가전 수출도 5.0% 감소해 ‘비’로 전망됐다. 철강은 0.7% 소폭 증가해 ‘흐림’으로 예상됐다. 수출 비중 1위인 반도체는 4.3%로 ‘흐림’, 2위인 자동차는 -0.8%로 ‘매우 흐림’이었다.

산업연구원은 “보호무역 정책이 강화되고 교역 비중이 높은 중국 경기가 소폭 나아질 것으로 예상돼 12대 산업의 올해 대비 내년 수출은 1.3% 늘어나는 데 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내년 전체 수출 전망치 2.1%보다 낮은 수치다. 12대 주력품목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5년 만에 최저치(77%)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철강·조선 공급과잉 지속

산업연구원은 “철강과 조선은 공급과잉이 지속될 전망인 데다 수요침체도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철강은 상계관세 등 수입규제 압력이 내년에도 거세지고 조선은 교역 위축에 따른 해상 물동량 감축으로 수주 감소가 예상되는 등 보호무역 강화의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가전과 정보통신기기 등은 중국과의 경쟁 심화에 따른 가격 인하 압력으로 수출단가 하락이 예상된다. 가전의 경우 중국 업체들이 초고화질(UHD) TV, 프리미엄 세탁기 등 첨단기능 제품 생산에 나서고 있어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에 주력하고 있는 국내 업체들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LCD(액정표시장치)도 중국 업체의 경쟁력이 한국 업체 수준에 육박하고 있다. 자동차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의 수출이 늘며 단가가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연구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자동차 철강 반도체 등에서 미국 업체들과의 경쟁이 심해질 것”이라고 했다. 다만 국제 유가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정유와 석유화학은 유가 상승 전망에 힘입어 각각 ‘매우 맑음’과 ‘맑음’으로 예상됐다.

◆생산·내수도 부진

주력산업은 수출 저조로 생산도 부진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연관산업으로의 파급 효과가 큰 조선은 내년에 생산이 올해보다 12.3% 줄고, 자동차는 3.6%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내수 역시 정보기술(IT)산업을 제외한 대부분 산업이 부진할 것으로 관측됐다. 산업연구원은 “실물경기 부진과 소비심리 위축이 이어지는 데다 올해 경기를 떠받친 건설투자마저 내년에 위축되면서 산업 전반의 내수가 저조한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산업연구원은 내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2.5%로 예측했다. 올해 전망치 2.7%보다 0.2%포인트 낮은 수치다. 연구원은 수출 외에도 건설투자 둔화, 소비 위축 등을 GDP 증가율 하락의 이유로 들었다. 내년 민간소비 증가율 전망치는 2.1%로 올해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산업연구원은 “저성장과 미래 소득에 대한 불안감이 이어지고 가계부채의 원리금 부담이 늘면서 소비성향은 하락 추이를 지속하고 있다”며 “유가 반등, 소득 증가세 둔화, 구조조정 여파로 인한 고용 악화 등은 모두 소비 억제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