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면잠금 앱 최강자 '포스트 네이버' NBT
초기화면에 광고·콘텐츠 '모바일 포털'로 성장
중국서만 1억건 다운로드…미국·동남아 공략 나서
모바일 5위 광고매체 '우뚝'…2018년 상장 예정
[ 임원기 기자 ]
국내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중 성장성이 가장 빠른 곳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NBT는 아직 일반 대중에게는 익숙한 이름이 아니다. 이 회사가 서비스하는 ‘캐시슬라이드’는 한국에서 1800만명, 중국(서비스명 쿠후아)에서 1억명이 다운로드한 화면잠금앱이다. 대기업·벤처기업 수십곳과의 경쟁 끝에 한국과 중국에서 화면잠금앱 최강자로 자리 잡은 캐시슬라이드로 NBT는 지난해 창업한 지 3년 만에 600억원 가까운 매출을 올렸다. 올해 1000억원 돌파가 무난하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올 들어 상장 전담인력을 채용하는 등 본격적으로 기업공개(IPO) 준비에 나선 이 회사를 업계에서는 ‘포스트 네이버’라 부른다.
한·중 스마트폰 잠금화면 1인자
10여년 전 PC가 보편적이던 시절 네이버가 초기 화면을 장악한 것처럼 이 회사는 스마트폰 초기 화면을 장악하고 있다. 2012년 말 캐시슬라이드가 출시된 이후 라떼스크린, 허니스크린, 쿠차슬라이드, 플레이락, 도돌락커, 포인트락커 등 수십종의 화면잠금앱이 쏟아져 나왔다. 스마트폰을 쓸 때마다 가장 먼저 보이는 화면잠금앱으로 초기 화면을 장악하면 광고 등으로 엄청난 매출이 가능하고 확장성도 크다고 판단한 기업들이 너도나도 뛰어들었기 때문이다. CJ 등 대기업은 물론 네이버 넥슨 카카오 등 정보기술(IT) 기업들도 잇따라 유사 상품을 출시했다. 하지만 대부분 서비스를 종료한 가운데 캐시슬라이드가 80%에 육박하는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캐시슬라이드는 2014년 중국에 쿠후아(Coohua)라는 이름으로 진출, 1주일 만에 100만 다운로드를 기록한 데 이어 올 들어 다운로드 1억건을 돌파하는 등 승승장구하고 있다. NBT가 중국에 진출한 이후 머니락커 등 현지 중국 업체들이 출시한 수십종의 앱이 나왔지만 경쟁을 뚫고 화면잠금앱 1위에 올랐다. 한·중 스마트폰 사용자의 초기 화면을 잡은 NBT는 이제 미국과 동남아시아 시장을 노리고 있다. 최근 미국 시장에 프론토라는 화면잠금앱 서비스를 출시하고 현지 지사를 설립하는 등 공략에 나섰다.
잠금화면서 모바일 게이트웨이로
NBT가 포스트 네이버로 불리는 이유는 단지 초기 화면을 장악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캐시슬라이드는 2012년 말 나올 당시 단순 리워드(보상)앱에 불과했다. 앱을 다운로드하면 스마트폰을 쓸 때마다 초기 화면에 이 앱이 제공하는 광고 등이 보였다. 사용자가 화면을 밀면(슬라이드), 그때마다 5원 안팎의 적립금을 쌓게 해줬다. 일정 금액이 쌓이면 현금처럼 모바일에서 상품이나 카카오톡 이모티콘 등을 구매하는 데 쓸 수 있는데 대부분 업체가 여기서 어려움을 겪었다. 사용자가 늘어나는 것보다 적립금이 쌓이는 속도가 더 빨라지자 이를 감당하지 못한 업체들이 사업을 접은 것이다. 화면이 무거워지고 원치 않는 광고가 자꾸 노출되는 등 거부감만 불러일으킨 경우도 많았다. 이 와중에 캐시슬라이드는 적립금이 쌓이는 속도보다 사용자와 광고 매출이 더 빨리 증가하는 구조를 만들고, 계속 진화하면서 살아남았다.
단순 리워드 서비스이던 캐시슬라이드는 2014년 이후 미디어로 탈바꿈하고 있다. NBT는 스스로를 ‘모바일 게이트웨이’로 부르고 있다. 다른 말로 하면 포털(관문)이다. 즉 네이버의 뒤를 잇는 차세대 모바일 포털이 되겠다는 것이다. 실제 초기엔 사용자의 절대 다수가 적립금을 쌓기 위해 이 앱을 썼지만 이제는 뉴스, 동영상 등 각종 콘텐츠를 보기 위해 이용하고 있다. 모바일 미디어로 진화하고 있다.
상장 준비 착수
창업한 다음해 바로 흑자를 기록한 이 회사는 2014년 355억원, 지난해 58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중국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어 매출 성장세가 점점 가팔라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NBT의 중국 매출이 조만간 한국 매출을 뛰어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에서 월평균 250만명이 사용하는 캐시슬라이드는 카카오톡, 네이버, 페이스북, 밴드에 이어 모바일 앱 중 다섯 번째로 큰 광고매체다. 최근 이 회사는 상장과 관련해 전문인력을 채용하고 본격적으로 IPO 준비에 나섰다. 상장 주관사로는 미래에셋대우를 선정했다. 2018년 상장이 유력하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