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일본, 중국의 가운데 위치한 우리나라를 동북아 마리나 허브로 육성하면 매년 200만명의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는 크루즈산업 보다 더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수 있습니다."
정성기 해양수산부 항만지역발전과장은 20일 “우리나라도 '부산 더베이(The bay) 101' 등 일부 해수면 마리나가 관광 명소로 발전하고 있지만 늘어나는 해양 레저 수요에 비하면 관련 인프라는 너무 부족하다”며 “내륙의 강·호수 마리나 시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해양 거점형 마리나와 함께 내수면 마리나를 적극 육성해 전국 고속철도(KTX)망과 연결한다면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전국 어디서나 해양레저를 즐길 수 있는 ‘한국형 마리나 문화’를 만들수 있다”고 덧붙였다.
해양수산부가 국내 마리나항을 동북아 마리나 허브로 육성하는 프로젝트에 본격 착수했다. 해수면에 이어 강 호수도 템스강 주변 마리나 같은 관광 명소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규제를 풀 부분은 풀고, 일반인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금강 마리나에서 요트 즐긴 뒤, 레스토랑 들러 `모히토` 한잔
해수부는 서울 난지, 세종 금강, 청풍호, 충주호 등 국내 강과 호수에서 요트를 즐길 수 있도록 내수면 마리나를 조성해 국내 관광산업을 적극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내수면 마리나에선 보트, 요트뿐만 아니라 딩기요트, 카약, 수상스키 등 다양한 해양레저 활동이 가능하다. 특히 파도와 바람 등 날씨 영향을 크게 받는 해수면 마리나와 달리 강·호수 마리나는 규모가 작지만 파도가 없어 안전하고 비용도 덜 들어 비용 대비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크다.
영국 템스강 마리나, 이탈리아 로마, 일본 비와호 마리나 등의 경우 강·호수 마리나가 대중성을 갖춘 데다 인근 숙박시설들이 잘 발달돼 수상레저~요식업~숙박업으로 이어지는 경제 파급효과도 크다는 진단이다.
해수부는 3월 중 내수면 마리나 활성화에 필요한 수요 조사, 제도 검토를 포함한 타당성 검토에 착수하고 올해 중 추가로 내수면 마리나 대상지를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국제 마리나 관계망 구축
해수부는 국내 거점 마리나항만을 중심으로 동북아 인접국의 주요 마리나항만과 교류 협력하고 국제 항해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공유하는 등 관계망을 형성하여 국내외 마리나 관광객을 적극 유치키로 했다.
국내 거점 마리나 항만을 중심으로 러시아, 일본, 중국 등 인접국의 주요 마리나 항만과 교류해 협력하고 국제항해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공유하는 등 관계망을 형성해 국내외 마리나 관광객을 끌어 오기 위해서다.
한·중·일 요트대회, 세계 요트대회(볼보컵)를 유치해 해양레저문화의 저변을 확대하고 국내 마리나항을 홍보하는 계기로 만들 구상도 갖고 있다. 해수부는 이 사업을 통해 크루즈 산업 이상의 소비지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수부 관계자는 “마리나 이용객의 소득수준은 상당히 높을 수밖에 없다”며 “유커(중국인 단체관광객)이 아니라 각 국가의 ‘슈퍼리치’들이 마리나를 통해 한국을 방문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크루즈 관광객 1인당 소비지출액은 886달러(약 102만원)였다. 200만명의 크루즈 관광객이 한국을 방문해 약 2조원 가량의 소비지출효과가 발생했는데, 마리나 육성을 통해 그 이상의 소비지출효과가 날수 있다는 게 해수부의 설명이다.
■떠오르는 해양레저…늘어나는 마리나항만 수요
정부가 이처럼 마리나 육성에 속도를 내는 이유는 국내외적으로 관련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에 따르면 지난 2015년 12월 기준 국내에 등록된 레저선박 수는 전년 대비 17% 증가한 1만5172척. 이는 2007년 대비 3.8배 이상 많은 수치다.
요트·보트 조종면허 신규 취득자 수는 지난해 기준 1만5059명으로 2007년 이후 연평균 10% 가량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왔다.이처럼 국내외 레저선박 수와 요트.보트 조종면허 취득자 수는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지만 국내의 마리나 시설은 열악하다.
현재 국내에는 33개 마리나가 운영된다. 2019년이면 마리나항만 개발수요는 9400척으로 늘어나게 되는데 현재 총 계류용량은 2331척에 불과하다. 이대로라면 전체 레저선박 1만5172척 중 15.3%만이 마리나항만에 계류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마저도 기존 어항 등을 활용해 지자체와 민간이 개발한 것이라 수용용량이 부족하고 시설이 영세하다. 상대적으로 시설이 제대로 갖춰졌다고 할 수 있는 전용 ‘마리나항’은 7개소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정부는 2013년부터 울진 후포, 당진 왜목 등 전국 6곳을 거점형 마리나 항만으로 지정하고 항만정비를 진행중이다. 정부는 이곳을 해양관광의 중심지 육성, 마리나산업 클러스터 조성, CIQ(세관.출입국관리·검역) 처리기능, 국제 마리나 네트워크 등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이 사업을 통해 6303억원의 부가가치 창출, 1조2383억원의 생산유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고용창출 효과도 8730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동북아 거점형 마리나 클러스터 추진
마리나는 해양·관광 산업의 핵심 기반시설로 ‘해양 레저의 꽃’으로 불린다. 요트·보트의 계류장을 넘어서 해양 스포츠를 즐기고 숙박, 쇼핑, 문화 공간이 결합된 복합 휴양시설이다. 미국과 호주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침체된 지역 경제를 일으키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인식되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 서부 해안의 마리나델레이 해양리조트 단지는 1965년 상업항에서 마리나항만으로 전환됐다. 현재 선박 5300척을 접안시킬 수 있으며 각종 호텔과 쇼핑센터, 주거시설 등이 들어서 있다.
지난해에는 전년보다 21% 증가한 3억 8000만 달러(약 42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를 창출했다. 일자리도 2173개가 새로 생겨났으며 관련 세금도 2020만 달러(약 220억원)를 거둬들였다.
해수부는 부산 북항, 광양 묘도, 인천 영종도, 인천 내항, 동해묵호항, 거제 고현 등 6개 항만 재개발사업에 올해 3조7000억원을 투입해 6000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목표다.
세계적인 해양관광ㆍ문화 중심지로 재개발하는 부산 북항에는 환승센터(4682억원)와 지하차도(2314억원), 공연장(2115억원), 보행데크(662억원) 등 1조원 규모의 사업을 착공한다.
부산 북항재개발사업은 총사업비 8조5000억원 규모의 메가프로젝트다. 광양 묘도 재개발사업(총사업비 6조2000억원)은 오는 5월에 2769억원 규모의 부지조성 공사를 시작한다.
영종도 매립지를 국제적 해양 워터프런트로 개발하는 인천 영종도 재개발사업(2조원) 역시 하반기에 부지조성 공사(4367억원)에 들어가고, 진입도로 건설과 상수도 인입공사도 시작한다.
부산ㆍ광양항은 올해중 ‘해양산업클러스터’로 지정된다. 인구 6만명의 작은 휴양도시에서 전세계 슈퍼요트의 22%를 생산하는 이탈리아 비아레지오가 모델이다.부산항은 요ㆍ보트 제조ㆍ판매 및 수리 분야로, 광양항은 해운항만물류 분야 R&D사업으로 각각 특화해 개발계획을 짜고 투자유치를 벌인다.
마리나와 크루즈 관광도 활성화 한다. 인천남항과 속초항, 제주 강정항 등 크루즈 전용부두를 확충해 크루즈 관광객 200만명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마리나 선박 대여업 기준도 현행 5t에서 2t으로 낮춰 대중들이 좀더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울진 후포와 당진 왜목 등 6개 거점 마리나 개발도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 일자리를 최소 4000여개를 더 늘리겠다는 설명이다.해양수산부 최명용 항만국장은 “이같은 복합형 마리나 항만 구축과 함께 올해부터 2종 항만배후단지에 대한 대대적인 민간투자가 본격화하면 항만에서 폭발적인 고용창출과 부가가치 효과가 창출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