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합업종제도는 중소기업을 보호하는 취지라고는 하지만 시장원리에 반하는 규제로 여러 부작용을 드러내 왔다. 대기업이 손을 떼게 하면 중소기업 시장이 확대되고 경영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품질개선과 원가절감 등 혁신 동기가 줄어들고 경쟁 제한으로 결국은 시장 파이도 작아진다. LED(발광다이오드) 조명과 제과점업에서 보듯이 외국 기업 좋은 일만 시켜준 경우도 많다. 적합업종 지정 후 중소기업 매출과 영업이익률이 낮아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온 것은 우연이 아니다.
그런데도 이 제도를 폐지하자는 주장보다는 아예 법으로 강제하자는 주장이 많다. 이런 가운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주 구조개혁 평가 보고서를 통해 한국에서 경쟁을 막고 있는 대표적 규제로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를 지목해 주목받고 있다. OECD는 이 보고서에서 한국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구조개혁이 필수라며 중기 적합업종을 대표적 개혁 대상으로 꼽고 점진적으로 이 제도를 축소하라고 권고했다.
잘 알려진 대로 적합업종제도는 1997년부터 시행하다가 2006년 폐지된 중소기업 고유업종 제도와 본질적으로 다를 게 없다. 10년간 운영한 결과 부작용이 커 제도를 없앴는데 이제 와서 다시 법제화하자는 것은 당장의 중소기업 경영난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고유업종을 폐지한 이후 중소기업 생산액은 11%포인트, 노동생산성은 3.2%포인트나 증가했다. 무엇이 진정 중소기업을 위하는 길인지, 중소기업인 스스로가 깊이 생각해볼 때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