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인을 인식해 그 사람에게만 권한을 부여하는 ‘보안’은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가장 전통적인 방법으로 그 사람이 소지한 물건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출입문을 열고 들어갈 때 열쇠를 활용하거나, 지하철을 탈 때 교통카드를 태그하면 추후 나에게 고지서가 날아오는 것 등이 이 단계에 속한다.
두 번째는 암호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스마트폰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나만의 패턴을 그리거나, 이메일을 확인하기 위해 포털에 문자와 숫자 조합으로 된 비밀번호를 적어넣는 것 등이다.
마지막은 내 고유의 신체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최근 나오는 스마트폰에 적용된 지문인식 기능이나, 홍채인식 기능 등이 여기에 속한다.
각각의 보안 방식 중 어떤 것이 더 낫다고 단정하긴 힘들다. 더 높은 보안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 방식을 혼용하기도 한다. 다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키를 잃어버릴 우려나, 누군가 옆에서 나의 암호를 훔쳐볼지도 모르는 걱정이 전혀 없는 생체인식 기술의 활용도가 점차 높아질 것이라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2020년까지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웨어러블 기기 등 거의 모든 스마트 모바일 기기에 생체인식 모듈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시장이 매년 90%씩 성장해 2020년에는 26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나의 거대한 전자기기로 변모하고 있는 자동차도 이런 변화의 흐름을 따라가고 있다. 지문인식을 통해 시동을 거는 기술은 이미 자동차에 적용됐다. 지문으로 차문을 열고 닫는 기술도 상용화를 목전에 두고 있다. 일부 업체는 차량에 탑재한 컴퓨터에 지문을 인식시키면 이메일을 확인하거나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을 선보이기도 했다.
생체인식 기술 자체가 아주 새로운 것은 아니다. 주민등록증에 입력한 지문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이나, 공항 검색대에서 지문을 입력하고 사진을 찍는 행위 등도 생체인식 범주에 속한다. 그런데도 자동차에 관련 기술 적용이 늦어진 것은 지문인식 센서 기술을 고도화해 인식률과 보안성을 모두 극대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차량에 적용하는 지문인식 관련 기술은 다음의 과정을 거친다. 우선 지문인식 센서에 손가락을 대면 해당 지문 정보가 암호화돼 생체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제어장치(ECU)로 보내진다. ECU는 지문에 따라 운전자를 식별하고, 확인이 되면 연동 제어기로 정보를 보내 차문을 개폐하거나 시동을 건다. 이 모든 일련의 과정은 1초 이내에 처리된다.
앞으로는 지문인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체인식 기술들이 적용돼 운전자의 건강상태를 수시로 체크하는 헬스케어 자동차까지 나올 전망이다.
현대모비스도 관련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 올해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에서 생체인식 기술을 선보였다. 지문을 인식해 문을 열고 자동으로 특정인에게 최적화한 위치로 좌석과 미러, 공조장치, 오디오 등을 조정한다. 차량 내 카메라 센서는 운전자의 얼굴을 상시로 파악해 운전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 리스트를 추천하는 등 개인화한 서비스도 제공한다.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주식방 ] 신청자수 2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