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이 지난 지금, 홍콩 경제의 지배 세력은 중국 기업들이다. 청쿵그룹 등이 여전히 건재하기는 하지만 금융·부동산 등의 분야는 중국 본토 기업에 완전히 장악됐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올 들어 홍콩 증시에 상장했거나 상장할 예정인 기업의 자문을 맡은 은행 상위 10곳 중 9곳은 중국계다. 건설은행, 하이퉁증권, 농업은행 등이다. 1997년엔 10곳 중 10곳이 모두 모건스탠리, HSBC, 메릴린치 등 글로벌 금융회사였던 것과 대조적이다. ‘중국의 관문’ 노릇을 하는 홍콩에서 금융서비스 부문이 전체 경제의 18%를 차지하는 것을 감안하면 이는 적지 않은 변화다.
부동산 개발을 주도하는 것도 중국이다. 올해 홍콩 정부가 주거 지역 조성을 위해 개발하기로 한 땅은 하이난항공(HNA)그룹 계열사와 로건부동산홀딩스 등 중국계 부동산 개발업체에 돌아갔다. 헨더슨토지개발 등 홍콩계 시행사는 한 건도 따내지 못했다.
다른 분야에서도 ‘홍콩 기업’의 영향력은 점점 쇠퇴하고 있다. 통신사 차이나텔레콤은 이달 중 홍콩에서 모바일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지난해 마윈 알리바바그룹 회장은 홍콩의 주요 일간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를 사들였다. 마 회장은 SCMP 인수 배경에 대해 “서구적인 시각 대신 중국의 시각을 더 보여주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기업이 점점 치고 들어오면서 홍콩 기업은 해외에서 살 길을 찾으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년 전 청쿵그룹의 최대 계열사였던 허치슨왐포아의 이익은 69%가 홍콩에서 나왔지만, 지금 최대 회사 CK허치슨은 이익의 3%만 홍콩에서 내고 나머지는 유럽·호주 등에서 올리고 있다. 홍콩의 코어퍼시픽 야마이치인터내셔널 소속 캐스터 팡 리서치부문장은 “홍콩 현지 재벌들에 (해외 진출은)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라고 말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