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보라 기자 ]
■ 분쟁 4대 유형 살펴보니…
대기업이 아니라 독자 프랜차이즈로 출발해 성공한 파리바게뜨가 올해 30년째를 맞았다. 제2, 제3의 파리바게뜨가 되겠다며 프랜차이즈로 등록한 브랜드만 5000개가 넘을 정도로 성장했다. 프랜차이즈산업은 아이디어를 가진 젊은이들의 ‘성공 사다리’라는 평가와 함께 ‘자영업의 무덤’이라는 평가를 동시에 받고 있다.
새 정부 들어서는 ‘갑을 관계’의 대명사로 지적받으며 검찰, 공정거래위원회의 핵심 타깃이 되고 있다. 그동안 누적된 문제가 한꺼번에 드러나는 모양새다. 프랜차이즈 본부도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기업으로 변신해야 한다는 숙제를 던져주고 있다는 평가다. 다만 프랜차이즈 전체가 매도당하는 것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산업 성장의 싹을 잘라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벌어진 사례를 통해 프랜차이즈의 쟁점을 분석해봤다.
(1) 예측 힘든 오너 리스크
일부 오너 일탈로 불매운동…가맹점 법적보호 못받아
프랜차이즈 창업자(오너)의 일탈은 아무 관련 없는 가맹점의 피해로 돌아간다. 호식이두마리치킨의 최호식 전 회장이 대표적 사례다. 그는 성추행 사건으로 물의를 빚고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호식이두마리치킨 가맹점 매출은 불매운동 등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
지난해 화장품 업체 네이처리퍼블릭 정운호 전 대표가 도박과 비리 사건으로 구속되는 일이 벌어졌을 때도 소비자의 시선은 싸늘했다.
구조적으로 가맹점들은 앉아서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가맹점주는 모두 자영업자다. 개인적으로 자영업을 할 능력이 없어 프랜차이즈에 가맹했기 때문에 주도권은 본사가 쥘 수밖에 없다. 자영업자의 집합이어서 노조를 구성할 수도 없다.
오너의 비도덕적 일탈이나 가맹 본부의 갑질 경영으로 피해를 봐도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없다.
가맹점의 불법행위로 본부가 손해를 보면 가맹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조항은 있지만 반대 조항은 없다. 김관영 국민의당 의원은 프랜차이즈 업체 오너의 추문이나 일탈로 인한 불매운동으로 경제적 피해를 본 가맹점주를 지원하는 가맹사업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 법률안(일명 호식이배상법)을 대표 발의했다.
(2) 물류비 부담
식재료 등 본사가 지정한 업체에서만 구입 사례도
프랜차이즈 분쟁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재료비와 물류비 갑질’ 문제다.
프랜차이즈 본사는 재료를 가맹점에 주고, 물류를 대행해주며 수익을 챙긴다. 프랜차이즈가 성장하면 재료 구매량도 늘고, 유통 과정도 복잡해진다.
일부 프랜차이즈 본사는 이 지점에서 과다한 수익을 추구하려는 유혹을 참지 못하고 실행에 옮긴다. 김밥 전문점 ‘바르다김선생’이 대표적이다. 본사인 (주)죠스푸드가 일부 식자재를 과도하게 비싼 가격에 납품해 문제가 됐다. 125가지 식재료를 본사가 지정한 업체에서 구입하도록 강요한 것도 점주들의 불만으로 이어졌다. 미스터피자, 피자에땅, 뽕뜨락피자 등의 점주 역시 재료비와 물류비를 두고 본사와 갈등을 겪었다.
문제는 이처럼 본사와 가맹점 간의 갈등이 생기면 브랜드 이미지 손상과 불매운동으로 이어지면서 결국 가맹점주의 피해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바르다김선생 가맹점주들은 지금도 “이제 그만하고 상생하자”는 측과 “본사의 부당함을 못 참겠다”는 두 집단으로 갈라져 있다.
물류업체들을 대부분 오너의 친인척이 운영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3) '공동운명체'의식
가격 올리고 광고비 부담…본사도 함께 떠안아야
전문가 중엔 기업가정신의 부재를 근본적으로 꼽는 사람도 있다. 성공한 프랜차이즈 1세대로 꼽히는 곳들에서 이런 문제가 많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치킨 프랜차이즈 BBQ는 올 들어 가격을 인상했다가 공정위 조사가 시작되며 두 달 여 만에 전면 철회했다. 광고비 일부를 점주들에게 떠넘기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가격 인상안은 철회됐지만 가맹점주 매출은 지난 두 달 새 약 30% 하락했다.
BBQ의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5%가 넘었다. 커피나 한식, 분식보다 높았다. 본사는 돈을 벌었지만 가맹점은 수요 위축으로 어려운 한 해를 겪었다. 이 상황에서 치킨 가격을 올리고 가맹점에 광고비를 떠넘긴 것이 공분을 샀다. 업계 관계자는 “가맹점과 가맹본부가 공동운명체라는 생각이 프랜차이즈의 기본인데 대형 프랜차이즈 경영진은 이 의식이 약한 것 같다”고 말했다. 급속히 성장하는 과정에서 경영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것도 국내 프랜차이즈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4) 인테리어 비용
브랜드 이미지 위해 필요…가맹점 전가는 문제
인테리어 비용도 쟁점이다. 평당 200만~300만원이면 되는 인테리어 비용을 가맹점에 평당 600만~700만원으로 부풀려 청구하는 사례도 있었다.
죠스푸드는 2014년 인테리어 개·보수 등 점포 환경 개선 권유로 공사를 하면서 가맹점에 부담을 안겨 공정위로부터 과징금을 부과받기도 했다. 본아이에프가 운영하는 본죽도 가맹점에 상표 변경을 강요했다는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물류비와 인테리어비 등이 많이 들면 이 비용은 결국 소비자에게 돌아간다.
일부 가맹점주가 이런 비용 압박에 정량대로 조리하지 않고 재료를 아껴 음식을 만들다 보면 소비자들은 제대로 된 음식을 맛볼 수 없다.
2015년 떡볶이 프랜차이즈 아딸은 인테리어 업체 등으로부터 뒷돈을 받은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은 적이 있다. 이런 일부 사례로 인해 제대로 된 인테리어 교체 등의 작업도 쉽지 않다고 프랜차이즈 본부들은 지적했다. 한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는 “정기적인 브랜드 리뉴얼과 환경 개선 작업은 브랜드를 오래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일인데, 무조건 본사의 강요와 압박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본사와 가맹점 간 갈등이 생기면 브랜드 이미지 손상과 불매운동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는 본사와 가맹점 양측 모두 피해자가 되는 게임이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채팅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0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