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9월 5차 실험 이후 1년 만인 북한 핵실험은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처음이다. 기상청은 4차 핵실험에 비해 11.8배, 5차 핵실험에 비해서는 5∼6배의 위력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폭발력이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의 3~4배에 달하는 수준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북한 김정은 정권은 핵실험 강행을 통해 미국과의 ‘벼랑 끝 대결’에서 물러서지 않겠다는 뜻을 더욱 분명히 밝혔다. 북한은 핵실험에 앞서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아홉 차례에 걸쳐 탄도미사일 발사 시험을 진행하며 도발 강도를 높여왔다. 미국은 ICBM에 탑재된 북한의 핵폭탄이 미국 본토까지 위협하는 ‘레드라인(금지선)’을 넘지 말 것을 경고해왔지만, 이젠 ‘최종 조치’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을 맞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북한이 도발을 멈추지 않는다면 ‘화염과 분노’에 직면할 것”이라고 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북한의 6차 핵실험 직후 “워싱턴이 대북 해법에 대한 방정식을 바꿀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과거 인도와 파키스탄은 여섯 차례 핵실험을 진행한 뒤 사실상 핵 보유국 지위를 인정받았다. 북한이 이런 전례를 앞세워 미국에 직접 협상을 요구할 가능성도 커졌다. 한반도 문제에 대한 ‘운전대’를 김정은이 잡게 된 것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은 어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소집해 “국제사회와 함께 최고로 강한 응징 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정부는 이제라도 대북 전략을 분명히 해야 한다. 어정쩡한 대화론으로는 얻을 게 없다는 점이 확실해졌다. 북한은 문재인 정부의 ‘제재·대화 병행론’에 대해 “논리적 판단력이 완전히 마비됐다”며 조롱하고 있다. 국민들도 지금 상황을 직시해야 한다. 북한의 ‘막장 도발’에 맞서 사즉생(死則生)의 각오가 있어야 해법도 찾을 수 있다. 정부도 국민도 어떤 상황에서건 물러서지 않겠다는 각오가 필요하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