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들은 근로자들이 생계 이외에도 최소한의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는 급여인 ‘생활임금’이 이 정도는 돼야 한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지자체들의 잇단 일용직 임금 인상을 놓고 적지 않은 논란이 일고 있다. 국민 세금으로 특정 근로자에게만 혜택을 준다는 점에서다. 16.4%나 오른 내년도 최저임금 탓에 고용의 약 88%를 담당하는 중소기업들은 생존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자체들이 앞장서서 민간과 공공 부문 임금 격차를 더 벌리면 자칫 전반적인 임금 상승을 촉발시킬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근로자의 14.6%가 최저임금도 못 받는 현실에서 지자체발(發) 임금 인상은 되레 취약계층 고용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노동전문가들의 중론이다. 기업에는 내년 최저임금도 수요와 공급에 의한 적정 시장임금보다 높아 버거운데, 공공 부문이 앞장서 임금을 더 올리면 고용시장이 교란될 수밖에 없어서다. 일용직이 복지와 임금이 높은 공공 분야에 쏠린다면 생산현장에선 월급을 올려줘도 인력 구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내수 침체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상당수 중소기업들은 지금보다 고용을 더 줄일 게 분명하다.
지자체 재정난이 심화될 것이란 지적도 있다. 지자체들은 무상보육 등으로 ‘곳간’이 비었다고 아우성치고 있다. 이들이 앞다퉈 용역직 임금 인상에 나서고 있는 것은 어떻게 봐야 하나. 내년 ‘생활임금 1위’인 광산구의 재정자립도는 22.4%에 불과하다. 경남 전남 등의 일부 기초단체들은 재정자립도가 10%대다. 포퓰리즘 정책이란 비난이 나오는 배경이다.
‘취약계층’ 보호라는 명분이 아무리 좋아도 시장원리에 맞지 않는 정책은 부작용을 양산할 뿐이다. 취업난이 심각한 상황에서 ‘생활임금’ 인상이 불러올 부작용을 지자체들은 곰곰이 되새겨 봐야 할 것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