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만드는 미래
동아시아·태평양 워크숍
[ 서기열/김봉구 기자 ]
‘블라인드 채용’을 현실화하려면 국가역량체계(NQF)를 하루빨리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NQF는 국가가 공인 자격체계를 만들어 학력, 현장경험, 자격증 등을 통합해 표준화한다는 개념이다. NQF에 대한 기업 신뢰를 통해 학벌 차별 없는 채용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으로 홍콩 등 동아시아·태평양 역내국들도 서둘러 도입하고 있다.
30일 서울 삼성동 오크우드프리미어 코엑스센터에서 ‘동아시아·태평양(EAP) 워크숍 2017’이 열렸다. 11월1일부터 열리는 ‘글로벌 인재포럼 2017’의 사전행사다. 올해는 NQF를 주제로 전문가들이 자국의 경험을 공유했다.
대학과 기업의 관계는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이뤄진다. 기업이 직면한 ‘혁신의 딜레마’를 극복하는 게 첫 번째다. 기업들이 먼 미래를 내다본 투자를 주저할 때 공백을 대학이 메워줘야 한다는 의미다. 두 번째 역할은 기업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공급하는 것이다. NQF는 기업 맞춤형 인재 육성과 관련된 정책이다.
NQF를 가장 활발하게 활용 중인 나라는 홍콩이다. 2008년 관련 제도를 시행했다. 산업별로 총 21개 ‘교육훈련 자문위원회’가 설립돼 활동하고 있다. 근로자 수로 따지면 전체 53%가 여기에 해당된다. 고용주와 직원을 비롯해 정부 관련 기관이 참여해 산업별로 직무역량 표준을 세워나가고 있다. 산업별 위원회가 주도해 현재까지 총 38개 역량표준이 마련됐고 이를 바탕으로 8000여 개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만들어졌다.
NQF가 원활히 돌아가려면 기업, 대학 등 이해당사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전제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NQF라는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필수적”이라는 얘기다. NQF를 구축하는 각국이 모두 ‘품질 보증’을 강조한 이유다. 지타 파흐미 말레이시아 자격기관(MQA) 컨설턴트는 “말레이시아는 학점당 학습 이수시간을 배정하고 단계별 필요 학점을 부여하는 식으로 품질 기준을 정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후발주자 격이다. 한국형 NQF(KQF) 가이드라인을 연내 마련해 시범 적용해나갈 계획이다. 문상연 교육부 인재직무능력정책과장은 “블라인드 채용 등 능력 중심 사회 구현을 위해서는 해당 업계, 대학과 손잡고 KQF를 믿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서기열/김봉구 기자 philos@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3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