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명 오디션서 찾은 프랑수아 를뢰
하늘이 준 선물…아직도 감흥 못 잊어"
음악에 대한 쉼 없는 열정
난 원래 반주자로 태어나 실내악서 피아노 연주 즐겨
클래식은 깊이에 끝이 없어…얼마나 파고드느냐에 달려
향후 활동 계획은
도쿄필 명예 계관지휘자로 2018년 1월 '환상교향곡' 연주
라스칼라서 '피델리오' 등 지휘…환경 테마 음악회도 열고파
2015년 말 서울시립교향악단 상임지휘자 겸 예술감독에서 물러난 정명훈(64·사진)은 여전히 유럽과 일본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2017~2018 시즌 밀라노 라스칼라에선 오페라 ‘마탄의 사수’ ‘시몬 보카네그라’ ‘피델리오’를, 베니스 라페니체 극장에선 ‘가면 무도회’ ‘라 보엠’을 지휘한다. 일본 공연의 거점은 2001년 이래 인연을 유지하는 도쿄필하모니오케스트라(명예 계관 지휘자)이다. 지난 9월 피아니스트 임주희를 초대해 협연했고 내년 1월엔 베를리오즈 환상교향곡을 통솔한다.
국내에선 간헐적인 해외 악단의 내한(라스칼라필, 빈필)과 ‘원 코리아 오케스트라 프로젝트’ 연주만 있었을 뿐 정명훈의 예술적 비전을 이야기할 자리가 드물었다. 2014년 말 서울시향 사태 이후 국내 언론과 단독 인터뷰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도쿄필 일정 차 최근 도쿄 신주쿠에 머문 그를 만나 음악에 대한 쉼 없는 열정과 남은 꿈에 대해 들어봤다.
▶요즘 일과는 어떤가.
“서울시향 시절 리허설 빌딩이 생겼을 때 제일 높은 방을 개인 연습실로 달라고 했다. 아무도 방해하지 않고 피아노를 칠 수 있어서다. 오케스트라 연습이 끝나면 음악감독 사무실 대신 그 방으로 가서 피아노를 치곤 했다. 도쿄에선 대기실 피아노가 좋으면 조금 연습하다가 악단이 오면 리허설을 시작한다.”
▶피아니스트 활동을 늘릴 건가.
“피아노는 (특별한 계획 없이) 그냥 연습한다. 내가 좋아하는 건 단원들과의 실내악이다. 체임버 뮤직에서 피아노 치는 걸 좋아한다. 그런 자리에 가면 보통 말을 안 하고 그냥 따라가기만 하면 된다. 원래 따라가는 걸 좋아한다.”
▶지휘자는 리더가 돼야 한다고 하는데.
“난 반주자로 태어났다. 칠남매 중 여섯째였고 누나들(정명화, 정경화)이 연주하는 걸 들으며 컸다. 누나들과 앙상블을 할 때 ‘피아노(소리)가 너무 커’라는 말을 많이 들었다. 난 내 소리를 작게 하려고 훈련받은 사람이다. 지휘를 처음 하기 시작할 때도 지시하는 걸 싫어했다.”
▶한국의 피아노 인재들이 계속 나오고 있다.
“(김)선욱, (조)성진, (임)주희 모두 디지털로 배우는 사람이다. 거의 실수 없이 해낸다. 우리 민족의 기질과 피아노가 맞아서인 것 같다. 그런데 클래식은 깊이에 한이 없다. 얼마나 더 파고들 수 있느냐가 문제가 될 것이다.”
▶예술조직의 감독 시절 오디션이 늘 부담이라고 했다.
“의무니까 했는데, 개인적으로는 그 시간이 아까웠다. 판단을 해줘야 하는 것도 싫었다. 그러다 잘하는 사람이 나타나면 그 날이 내 생일이었다. 바스티유 시절(바스티유오페라오케스트라 상임지휘) 거의 1000명의 오디션을 했는데 맘에 드는 사람은 딱 한 명 나왔다. 오보에 연주자인 프랑수아 를뢰였다. 하늘에서 나에게 선물을 줬구나 했다. 스물 몇 살의 마른 소프라노(나탈리 드세이)도 왔는데 아주 잘했다.”
▶신인은 어디로 가서 배워야 하나.
“책을 공부해 100개 정도 배울 게 있다 싶으면 다 잊고 한두 가지만 기억한다. 그런데 그 한두 개가 평생을 간다. 여기서 한두 개, 저기서 한두 개 모아야 자신의 것이 된다. 자세히 보면 나도 혼자 해낸 건 별로 없다.”
▶차기 베를린필하모닉 상임지휘자인 키릴 페트렌코도 당신의 수강생이었다.
“이탈리아 시에나음악원에 한 번 가면 3주 정도 마스터클래스를 하는데, 그때 만난 사람 중 한 명이었을 게다. 학생들에게 ‘내년에도 여기 오면 같은 소리를 할 거니까 또 올 필요 없다’고 했는데 많이 다시 왔다.”
▶한국 공연장이 세계적 수준에 도달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홀이 겉만 멋있지 안에 가면 말도 안 되는 곳이 지금도 많다. 디테일과 유지 측면에서 일본에서 배울 점이 있다. 우선 기본이 확실해야 한다. 연주자가 지방에 가도 걱정이 없어야 한다.”
▶서울시향 이외에 국내 다른 악단을 지휘할 기회는 적었다. 앞으로는 어떤가.
“1998년 KBS 교향악단을 맡을 때 하고 싶던 건 아이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었다. 지금 제일 중요한 문제는 인권과 환경이다. 특히 환경의 중요성을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20년 전 환경 음악회를 만들었는데 주변에서 돈이 든다고 관심을 끊었다. 한국 오케스트라들이 미래를 위해 이런 문제를 더 생각해야 한다.”
▶시간을 돌릴 수 있다면 언제로 가고 싶나. 자르브뤼켄(독일) 시절이라면 독어를 더 공부하지 않았을까 싶은데.
“자식 교육도 그렇고 자르브뤼켄보다 로마나 파리가 살기에 낫겠다 싶었다. 독일에 더 있었으면 가족 모두 독어를 잘 했을 거다. 다 운명이란 게 있다.”
도쿄=한정호 음악평론가 imbreeze@naver.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3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