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북 경주 지진에 이어 14개월 만에 포항에 진도 5.4의 강진이 발생했다. 더 이상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나온다. 게다가 지진 원인에 대한 명확한 분석이 어려워 지진 연구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국내 지진 연구는 1970년대 후반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계기로 시작됐다. 그러나 사회적 관심이 적은 데다 전문인력이 태부족한 상태다. 때문에 이제라도 독립된 연구소를 설립해 본격적으로 지진 연구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20일 대학들에 따르면 국내 대학의 지진 관련 연구기관은 1997년 설립된 서울대 지진공학연구센터 정도다. 이를 제외하면 대학 차원에서의 지진 연구는 대부분 지질학과, 지구물리학과, 토목공학과, 건축공학과 등 관련 학과에서 일부 다뤄지는 수준이다.
1999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후 지자연) 내 독자적 연구를 목적으로 한 지진연구센터를 설립했지만 기술인력을 제외한 연구인력은 현재 17명에 불과하다. 지진을 탐지하고 발표하는 기상청에도 지진관리관이 있으나 관련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
학회 역시 대한지질학회, 한국지구과학회 등 두 세 곳 정도다. 전문적 지진 연구를 할 수 있는 대학 교수는 20명 내외로 알려졌다. 국립대 A 교수는 "그동안 국내에 지진이 많이 발생하지 않은 데다 취업이 안 되니 지진을 연구하려는 석·박사과정 학생은 거의 없는 실정"이라며 "그나마 있는 연구인력도 원로급이라 허리를 맡아줄 전문인력 확충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포항 지진 원인에 대한 분석이 엇갈리는 요인 중 하나도 얇은 연구인력층이 꼽힌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9월 발생한 경주 지진에 비해 이번 지진 강도는 약했지만 지진의 진원지가 지표면과 가까워 실제 충격이 컸다는 분석이 나왔다. 반면 진원지 부근의 근원암 성질에 따라 최근 지진 피해 규모가 상이했다는 관측도 있다.
정부 차원에서는 올해부터 25년에 걸쳐 활성 단층 지도 제작을 시작했지만 많은 시간과 연구 인력이 필요해 당장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희권 강원대 지질학과 교수는 "현재 국내 전체 국토의 5%에 불과한 원전 인근 활성 단층 연구만 된 상태"라면서 "최소 석·박사급 인력이 필요한데 국내 연구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털어놓았다.
전문가들은 지진만 전문으로 연구하는 한국지진연구원(가칭) 설립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함세영 부산대 지질학과 교수는 "지진 발생 위치, 지진 분석, 지진 예측 등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하려면 신진인력이 필요하다"면서 "연구원 내 부속으로 있던 조직을 독립해 설립하면 보다 체계적인 지진 연구가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지진학 박사 1호인 김소구 한국지진연구소 소장은 "지진 관련 기초연구가 부실한 데다 전문인력이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어 이를 통합한 연구조직을 설립해 시너지를 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5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