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량 감소·지역별 온도차 불가피…서울은 여전히 인기"
한국은행이 30일 6년 반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하자 부동산 시장 참여자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출이자 부담이 늘어나면서 집값에 미칠 영향도 만만치 않아서다. 전문가들은 금리 상승폭이 이미 시장이 예상했던 수준인 데다 속도도 완만할 전망이어서 당장 큰 충격이 나타나진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가 함께 오르게 되면 부동산 구매수요가 감소하면서 가격이 내려갈 것이란 게 일반적인 전망이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두 차례 금리인상기(2005~2008년 8차례·2010~2012년 5차례)엔 인상 초기 오히려 부동산 가격이 올랐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과거 금리인상기엔 대출규제 등 수요억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 방향으로 움직였다”며 “경기가 회복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신호인 데다 인상기 초기엔 여전히 금리 수준이 낮은 만큼 속도가 급격하지 않다면 가계부담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금리인상이 여러 차례 진행돼 일정 수준에 도달하고 경기가 서서히 둔화 국면에 진입할 때가 돼서야 부동산 가격 상승폭이 꺾였다”고 분석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은 2012년 6월 이후 6년여 만이다. 경제지표가 양호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본격적인 금리인상기에 접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가계부채가 1400조원을 넘어선 상태에서 가파른 인상은 가계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질 우려가 있는 만큼 속도 조절을 할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금리인상 초기인 데다 완만한 상승이 예상된다는 점에서 당장 부동산 시장에 나타나는 충격파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거래량이 감소하지만 서울 등지는 여전히 인기를 보이는 등 지역별 편차가 뚜렷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함 센터장은 “신(新)총부채상환비율(DTI)과 총체적상환능력심사제(DSR) 도입까지 겹쳐 심리적 위축이 불가피한 데다 계절적 비수기 요인까지 고려하면 거래량은 지금보다 더욱 감소할 것”이라면서도 “서울의 경우 내년 입주물량이 많지 않은 데다 재건축단지가 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는 만큼 큰 등락을 보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장은 “0.25%포인트 인상은 실질적인 가계부담 증가로 이어지기보단 상징적 효과로 심리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서울 같은 인기지역보다 지방 부동산 시장에서 집값 상승 억제 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내년 추가 금리인상 여부에 대해선 변수가 있는 만큼 여전히 부동산이 다른 투자상품보다 우위를 유지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단기 부동자금이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은 여전히 유효한 셈이다.
반복되는 부동산 가격 불안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시장안정화 대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천구 연구위원은 “공급이 충분해 보이지만 서울 강남권 등 일부 지역의 공급은 수요 대비 부족한 상태”라며 “총량적인 공급 확대보단 수요가 많은 지역에 규제완화 등으로 공급을 늘리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형진 한경닷컴 기자 withmold@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한경닷컴, 기업 대상 '2018년 환율전망 및 금리전망 세미나' 오는 12월 12일 KDB산업은행과 공동 주최!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5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