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기기 위해 자발적 돈·에너지 투자 확대
직업 대신 취미가 개인의 정체성 설명할 것
이주은 < 건국대 교수·미술사 >
페이스북에 올라온 어느 사연을 보니 전교 1등을 하는 고등학생이 악기 다루는 것을 너무 좋아해서 그 길로 가고 싶다고 한다. 담임선생님을 비롯해 부모로서는 은근 입이 근질근질하다. 그 성적이면 의사도 될 수 있을 거라고 잔소리하고 싶은 거다. 하지만 훗날 인공지능과의 공존시대에는 어떤 직업이 살아남을지 모르는데, 무작정 음악은 취미로만 삼으라고 말할 확신까지는 서지 않아 조언을 구하는 중이다.
차라리 30년 전의 아버지들 같으면 “음악은 안 돼. 무난한 전공이 좋아”라고 단호하게 말씀했을 것이다. 그 시절 아버지들은 자녀의 진로뿐 아니라 결혼을 앞두고도 비슷한 태도를 보였다. “결혼 상대로는 함께 살기에 여러 가지로 무난한 사람을 택해야 한다.” 그런데 도대체 이 ‘무난한’이라는 형용사가 얼마나 모호하고 자의적인지, 평생을 살아도 그 뜻을 헤아릴 수 없을 것 같다. 무난하다는 단어야말로 세상을 요즘처럼 불확실성의 시대로 몰고 간 주범은 아닌지 잠시 의심해 본다.
학창시절 생활기록부에, 그리고 기업에서 주는 이력서 양식에 취미를 쓰는 칸이 있었다. 그 칸을 채우기 위해 거듭 신중을 기하거나 커다란 의미를 둔 사람이 있었을까 싶다. 왜냐면 취미란 그것이 독서건 음악 감상이건, 당시 학교나 기업이 원하는 ‘무난한 인간상’을 말해주면 그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취미의 속성은 집단 속에 무난하게 파묻히기 위해 하나쯤 정해두는 것이 아니라 개성적인 인간으로 살기 위해, 무엇보다 자기가 즐거워서 자발적으로 시간과 돈과 에너지를 투자하는 것에 있다.
사람들이 생존을 위해 전력투구하는 상태에서 벗어나 그저 재미있게 시간을 보내기 위해 뭔가를 하게 됐을 때 비로소 취미가 시작됐을 것이다. 물론 왕이나 귀족 등 온종일 육체노동을 할 필요가 없는 유한계층만이 제대로 된 취미를 발전시킬 수 있었겠지만, 산업혁명 이후에는 여가라는 개념이 정착하면서 취미의 기회가 모두에게 열렸다.
취미는 여유로운 마음으로 즐기는 것이지만, 그것을 지속적으로 해나가다 보면 어느덧 직업보다 더 뛰어난 성과로 이어지기도 한다. 한 분야에 열중하는 사람을 일본어로 ‘오타쿠’라 부르는데, 과거에는 지나치게 하나에만 몰입해 뭔가 ‘무난하지 않은’ 사람이라는 부정적 분위기를 띠었으나 이제는 ‘특정 분야의 전문가’라는 긍정적 의미로 변모했다. 취미에 들이는 시간과 노력의 가치를 인정하고, 취미를 통해 창출해내는 성과까지도 인정하게 된 것이다.
뭔가에 몰입하는 것은 그 자체로 치유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영화 ‘쉘 위 댄스’에서는 직장과 가정을 오가는 쳇바퀴 속에 인생의 방향도 즐거움도 잃어버린 한 중년 남자가 예상치 않게 춤에 몰입하게 되면서 삶의 활력도 되찾는다. 그러고 보니 한국에서도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때 등산이 국민취미로 부상했다. 직장을 잃은 많은 사람이 산꼭대기에 올라가 심호흡을 하며 답답한 심정을 혼자서 달랬는지도 모르고, 오랜 세월의 풍파에도 한결같은 자연을 보며 한 수 깨달음을 얻고 내려왔을 수 있다.
삶의 중요한 갈림길이 나타날 때마다 줄곧 무난한 것들을 택하곤 하던 중년들이 이제는 정말로 진지하게 취미에 관심을 보인다. 어느덧 취미는 자기를 발견하고 자신을 드러내며, 상대방을 알아가는 데 중요한 소재로 자리매김했다. “아버지 뭐 하시냐? 그래, 학교는 어디 나왔고?” 하는 식의 불편한 질문은 공룡처럼 멸종하고, 프랑수아즈 사강의 소설 제목처럼 “브람스를 좋아하세요?”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본격적인 인공지능 시대가 오면 취미는 더욱 중요해져서 인간의 존재 이유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초기에는 인공지능과 인간이 서로 경쟁하는 구도가 발생하겠지만, 지금까지의 산업혁명들이 그랬듯 결국에는 기계가 주로 일하고 인간은 지금보다 더 많은 여가를 보내게 될 것이다. 그런 날이 오면 의사, 변호사, 사업가처럼 지금까지 자신의 정체성을 말해주던 일의 위치를 취미가 대신 차지하지 않을까.
이주은 < 건국대 교수·미술사 myjoolee@konkuk.ac.kr >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