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혈액형에 따라 수혈하는 것처럼 위암 유전형에 따라 항암제 치료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항암제 치료 결과를 예측하는 진단법이 개발됐기 때문이다. 지금은 2~3기 위암 환자는 수술을 받은 뒤 모두 항암제 치료를 받는다.
정재호?노성훈 연세암병원 위장관외과 교수팀과 국내 다기관 공동연구팀은 진행성 위암 환자 유전자를 분석해 수술 후 항암제 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진단법을 개발했다고 20일 발표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란셋 온콜로지에 실렸다.
2~3기 위암환자는 표준치료법에 따라 수술 후 모두 항암치료를 받는다. 위암수술 후 보조항암화학요법이 암 재발을 줄인다는 클래식 임상결과 때문이다. 항암치료로 미세하게 남아있는 암 세포를 죽여 치료율을 높이고 재발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위암 환자가 모두 항암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개인에 따라 효과가 다르지만 이를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정재호?노성훈 교수팀은 다중 코호트 연구방법으로 2000~2010년 위암 진단 환자 2858명의 유전자를 분석해 위암을 면역형과 줄기세포형, 상피형으로 분류했다. 면역형은 수술 결과는 좋았지만 항암제는 잘 반응하지 않았다. 면역형은 항암제 치료를 해도 치료 효과가 높지 않았다. 상피형(EP)은 수술만 받았을 때보다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았을 때 치료 효과가 좋았다.
세유형 중 상피형(EP)은 항암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종양형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를 환자에게 적용하기 위해 노보믹스와 함께 종양형과 항암제 효과를 예측하는 유전자 분석 기반 진단기술(nProfiler)을 개발했다. 환자 625명 중 79명(13%)이 면역형이었고 줄기세포형과 상피형형은 각각 265명(42%), 281명(45%)이었다.
면역형의 5년 생존율은 83.2%였는데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군의 생존율은 80.8%, 수술만 받은 환자는 85.8%로 큰 차이가 없었다.
정 교수는 "1901년에 지금 같은 ABO식 혈액형을 처음으로 구분하기 전에는 자신의 혈액형과 적합한 수혈을 받는 것이 불가능했다"며 "사람의 혈액형을 구분해 수혈하는 것처럼 유전자 분석으로 개인의 종양형을 분류하고 특성에 따라 항암치료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분자진단 알고리즘을 개발한 것"이라고 했다. 암환자도 종양형에 따라 최적의 치료를 선택하는 맞춤 정밀의료 시대를 열었다는 것이다.
노 교수는 "수술 후 결과가 좋고 항암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는 굳이 항암치료를 받을 필요가 없다"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진행성 위암 환자 15~20%는 표준항암치료를 받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했다.
유전자 검사로 항암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선별하게 되면 삶의 질도 개선될 수 있다. 불필요한 항암치료를 받지 않아 암 치료비가 줄면 건강보험 재정에도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는 연세암병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 서울대병원, 국립암센터, 분당서울대병원, 전남대 화순병원, 영남대병원 등이 참여했다. 개인의 유전자 검사를 통해 항암제 적합성을 평가하는 의료기기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허가가 끝나 별도 상용화 과정 없이 임상에 적용할 수 있다. 현재 신의료기술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