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간 무역분쟁이 격화되면서 국내 산업 가운데 자동차/부품과 디스플레이가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26일 "트럼프 무역분쟁 이슈는 2018년 화두로, 단기 이벤트성 악재로 보기 어렵다"며 "11월 미국 중간선거까지 증시에 교란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이 연구원은 "이번 트럼프 행정명령의 타깃은 중국의 IT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며 "실제 백악관은 중국 관세부과 제품에 하이테크 제품이 상당부분을 차지할 것이라 전했다"고 했다. 중국 고부가가치 산업의 고도 성장의 중심에 있는 중국 반도체, 전자산업이 경쟁력을 강화해나가면서 미국의 견제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중국 IT 산업에 대한 미국의 통상압력은 한국 IT에도 부담이다. 그는 "한국의 대중 수출 중 중간재인 부품/부분품 수출이 45%에 달하고 주요 수출품목 1, 2위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라며 "중국의 대미수출이 악화될 경우 간접적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했다.
이 연구원은 "특히 디스플레이의 경우 업황, 실적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며 "중국 가전제품의 대미수출 증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트럼프 행정명령으로 인해 수출물량 감소가 현실화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는 연초 이후 태양광, 세탁기에 이어 철강, 알루미늄으로 관세대상과 품목을 확대시키고 있다. 트럼프는 향후 유럽산 자동차에 관세 부과를 검토할 것으로 밝힌 바 있다.
그는 "한미 FTA 개정협상에서도 미국이 자동차/부품 분야를 압박해 나갈 것"이라며 "자동차/부품산업은 미국의 무역적자 기여도가 높고, 트럼프 정치적 지지기반인 러스트벨트 지역에서 중요 산업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대신증권은 트럼프 통상압력 강화 국면에서 실질적인 피해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으로 반도체를 꼽았다. 한국의 반도체 대미무역수지는 적자를 기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반도체 전체수출에서 대미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현저히 낮다는 이유에서다.
이 연구원은 "반도체 산업의 대중국 수출비중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 반도체로 완성된 IT기기나 스마트폰은 중국내 내수로 대부분 소비되고 있다"며 "미중 통상압력의 여파에 한 발 빗겨나 있다는 판단"이라고 덧붙였다.
정형석 한경닷컴 기자 chs8790@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