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쓰레기가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은 1인 가구와 홈쇼핑 이용, 택배수요 급증 등과 관련이 깊다. 작은 물건 하나 배송받아 포장을 뜯으면 비닐, 플라스틱, 스티로폼, 상자 등 재활용 폐기물이 수북이 쌓이는 게 보통이다. 우리나라의 연간 1인당 비닐, 플라스틱, 스티로폼 소비량은 50㎏에 달한다. 이대로 가다간 1950년대부터 2010년까지 20배 증가한 플라스틱 사용량이 2050년까지 다시 20배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제품 포장방법 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제품 종류에 따라 65~90%를 내용물로 채워야 하고, 포장은 2회 이내여야 한다. 과대포장을 막기 위해서다. 적발되면 최대 300만원 과태료가 부과된다. 하지만 일일이 점검하기 쉽지 않아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게 현실이다. 적정 이상의 포장은 환경오염 등 폐해를 낳을 뿐만 아니라 재료비 증가로 인해 그만큼 소비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안기기도 한다.
제품 과대포장은 우리 사회의 허례허식, 체면문화가 낳은 한 단면이라는 지적도 있다. 압축적인 경제성장을 이루면서 부의 과시를 통해 존중받고 싶어하는 문화가 생겨났다는 게 소비자 심리를 연구해 온 김주호 명지대 교수의 분석이다. 과대포장도 이런 허세를 중시하는 우리의 잘못된 인식이 낳은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실리를 중시하는 서구와 달리 한국은 체면문화가 상대적으로 강해 제품의 실질보다는 브랜드 이미지, 다른 사람들의 시선 등 외부적인 요소가 제품 구매에 더 큰 영향을 끼친다는 조사도 있다. 상대방에게 성의를 표시하기 위해서라도 과대포장하는 경우가 많다는 분석이다. 업계에서는 과대포장이 마케팅의 한 수단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됐다.
우리사회의 정신적 풍토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공방은 자극적이고 즉흥적으로 흐르기 십상이다. 객관적이고 충분한 근거를 갖고 자신의 주장을 펴지 않고 권위와 감정을 앞세우거나 흑백논리에 얽매이는 모습도 흔히 볼 수 있다. 깊은 성찰적 지식보다는 ‘포장적 지식’이 판을 친다.
국가현안에 대한 합리적이고 진지한 밤샘 토론 문화는 찾아보기 어렵다. 정치학자들은 이를 두고 ‘디노크라시(dinocracy·소음민주주의)’라고 한다. 생활폐기물 못지않게 경계해야 할 것이 이런 체면문화와 ‘포장적 지식’이 아닐까.
홍영식 논설위원 ysho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