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는 실시간 라디오 청취 등
국내 업체 '킬러콘텐츠'로 대응
[ 배태웅 기자 ]
구글이 올 상반기 중으로 인공지능(AI) 스피커 ‘구글홈’을 출시한다. 시장을 선점한 국내 업체들과 거실의 AI 주도권을 놓고 경쟁하게 됐다. 한국 출시가 다소 늦은 편이지만 구글의 강력한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연계했을 때 시장에 미칠 파장이 적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구글은 이달 초 국립전파연구원으로부터 AI 스피커 구글홈과 구글홈 미니의 전파인증을 받았다. 전파인증은 무선 기기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제도로 국내 출시를 위한 필수 절차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이 제품 출시 1~2개월 전에 전파인증을 받는 점을 고려할 때 올 상반기 구글홈 시리즈가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2014년에도 구글은 미디어 스트리밍 기기 ‘크롬캐스트’의 전파인증을 받은 후 두 달 뒤 판매를 시작했다.
국내 AI 스피커 시장을 주도하는 곳은 SK텔레콤·KT 등 통신사와 네이버·카카오 등 포털 업체들이다. SK텔레콤이 2016년 ‘누구’를 처음 선보인 데 이어 KT는 ‘기가지니’를, 네이버와 카카오는 ‘프렌즈’와 ‘카카오미니’를 각각 선보였다. 삼성전자도 자체 AI 비서 ‘빅스비’가 들어간 스피커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AI 스피커의 국내 시장 규모는 약 150만 대로 추정된다. 통신사들은 인터넷TV(IPTV)와 AI 스피커를 연동한 서비스를, 포털 업체들은 택시 호출, 음식 배달 등의 온·오프라인 연계(O2O) 서비스와 자사의 검색엔진을 활용한 음성검색 기능을 내세우고 있다.
국내 업체들은 구글홈 출시에 긴장하는 모습이다. 구글이 국내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80%가 넘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쥐고 있기 때문이다. 구글은 스마트폰과 AI 스피커에 동일한 소프트웨어인 ‘구글 어시스턴트’를 탑재해 소비자를 구글의 서비스에 묶는 ‘록인(lock-in)’ 전략을 펼치고 있다. 모바일과 거실에서 모두 구글 AI 서비스를 쓰도록 유도하는 전략이다.
지난해 9월 구글은 국내에서 구글 어시스턴트의 한국어판을 출시했다. 이후 출시된 국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들은 구글 어시스턴트를 기본으로 탑재하고 있어 구글홈과 스마트폰의 시너지 효과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국내 업체들은 각 사가 가진 ‘킬러 콘텐츠’로 구글에 맞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는 카카오미니의 주요 기능으로 ‘국민 메신저’인 카카오톡 연동과 카카오 택시 호출을 내세우고 있다. 네이버는 국내 최대 포털 업체라는 이점을 살려 국내 시장에 특화한 음성검색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실시간 라디오 청취와 11번가를 이용한 쇼핑을, KT는 IPTV 셋톱박스 기능과 통화 기능을 각각 AI 스피커의 주요 기능으로 강조하고 있다.
구글홈의 성공 여부는 부족한 국내 전용 콘텐츠를 얼마나 확보하느냐에 달렸다. 구글은 최근 국내 한 오디오북 업체와 제휴해 한국어 음성 콘텐츠 확보에 나섰다. 업계에선 구글이 국내 최대 음원 업체인 멜론과 제휴해 음원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멜론 관계자는 “구글 어시스턴트에서 멜론 앱(응용프로그램)을 불러올 수는 있으나 구글홈과 사업 진행은 논의된 바 없다”고 말했다.
정보기술(IT)업계 관계자는 “국내 업체들이 시장을 개척하면서 쌓은 콘텐츠의 양을 고려하면 단기간에 구글이 국내 AI 스피커 시장 판도를 뒤집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