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포털 검색부문에서 시장 점유율 70%를 차지하면서 1위를 달리고 있는 ‘네이버’의 경우는 1인당 ID를 3개까지 제한하고 있는데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 걸까? 돈만 주면 네이버 ID를 대량 구매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인터넷상에서는 네이버 ID 한 개가 1만원 내외로 공공연하게 거래되고 있다고 한다.
네이버의 댓글을 분석하는 사이트인 ‘위드미터’에 따르면, 지난 5개월간 네이버 상위 댓글꾼 1000명의 댓글 수가 전체 댓글의 3.8%를 차지했다고 한다. 지난해 국내 인터넷 사용인구가 약 4500만 명이라고 할 때 네티즌의 0.002%가 댓글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이다. 드루킹이 이용한 600여 개의 ID가 모두 상위권 댓글이라면 전체 댓글의 2.5%를 차지한다는 계산이 된다.
이 전문 댓글꾼들은 똑같은 내용을 계속 올려 여론몰이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서울대 연구팀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기사만 읽은 집단과 기사에 달린 부정적 댓글까지 읽은 집단을 비교 분석했더니, 부정적 댓글까지 읽은 집단은 ‘댓글이 곧 실제 여론’이라고 인식하는 태도를 보였다고 한다. ‘여론이 이렇구나’ 동조하는 성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댓글이 진짜 네티즌의 의견인지 조작된 내용인지를 구분할 수 없다는 것일 것이다.
이런 댓글 조작이 인터넷 여론을 심각하게 훼손할 제2의 드루킹 사건은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프로그램을 모두 차단하기도 어렵겠지만 댓글 조작 기술이 정부의 대책을 앞서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민주주의 체제는 3권 분립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 3부를 모두 감시하는 제4부로서 언론을 꼽을 만큼 미디어는 중요하다. 인터넷은 신문, 방송만큼이나 영향력이 큰 미디어 매체이다. 이런 매체가 소수 몇몇의 조작된 댓글에 좌지우지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우리 네티즌들도 무분별한 댓글에 휘둘리지 않는 올바른 시각과 판단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김태훈 생글기자 (춘천 성수고 2년) kevinkim2001@naver.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