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회의 축소로
기자회견 횟수 놓고 고민
"시장과 소통 부족 우려"
"경기 예측도 높아질 것"
[ 김은정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정확한 경제 진단과 시장 소통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개최될 때마다 열리는 기자회견을 두고서다.
7일 한은에 따르면 이 총재는 1년에 8회, 금리 결정 금통위 직후 매번 열리는 총재 기자회견의 적절한 횟수를 두고 다양한 의견을 취합하고 있다.
한은은 2016년까지 매월 금리를 결정하는 금통위를 열었다. 하지만 적정한 기간을 두고 경제 전망과의 연계성을 강화하려는 목적과 6~7주 주기로 금리를 결정하는 주요국 중앙은행의 정책회의 일정 등을 감안해 지난해부터 금리를 결정하는 금통위 횟수를 종전 1년에 12회에서 8회로 조정했다. 금리를 결정하는 금통위 직후에는 매번 총재 기자회견이 열린다. 현장에서 기자들이 질문하면 총재가 준비 없이 즉시 답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일각에선 한은의 경제 인식을 총재의 입을 통해 명확하게 시장에 전달하려면 기자회견 주기가 길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기자회견은 분기별로 2회 정도 열리는데, 분기별로 한 번만 하면 경기 판단과 전망에 대한 구두 설명이 더 구체적이고 정확해질 수 있다는 논리다.
경제성장률 등 국내총생산(GDP) 통계는 분기(3개월)별로 나온다. 한은의 경제 전망도 분기마다 이뤄진다. 하지만 기자회견이 매달 열리다 보니 ‘총재의 화법이 두루뭉술하다’ ‘특별한 신호를 주지 않았다’는 식의 불만이 많다.
미국 중앙은행(Fed)도 한국처럼 1년에 8회 금리 결정을 위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있다. 한국과 다르게 8회 모두 Fed 의장의 기자회견이 열리진 않는다. 한국의 절반인 4회만 기자회견을 한다. 올해엔 3월, 6월, 9월, 12월에 예정돼 있다.
한 경제학과 교수는 “매번 열리는 총재 기자회견이 시장과의 효율적인 소통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지 꼼꼼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기자회견을 줄이면 시장과의 소통을 소홀히 한다는 반발이 나올 수 있다. 한은 관계자는 “일단 여론을 충분히 수렴하고 장단점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은 안팎에선 기자회견 횟수가 줄어들면 주요국 중앙은행처럼 정책금리 전망 경로 등을 공개하는 것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