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성큰 그릇은 늦게 이뤄진다 -삼국지, 후한서-

입력 2018-06-11 09:03   수정 2018-06-15 16:17


▶한자풀이

大 큰 대
器 그릇 기
晩 늦을 만
成 이룰 성

정언약반(正言若反)은 도가(道家)의 시조 노자가 즐겨 쓴 기법이다. 반대인 듯한 표현으로 핵심을 찌르는 수법이다. “매우 밝은 도는 어둡게 보이고, 앞으로 빠르게 나아가는 도는 뒤로 물러나는 것 같다. 가장 평탄한 도는 굽은 듯하고, 가장 높은 덕은 낮은 듯하다.” 정언약반 기법으로 도(道)를 설명하는 《노자》 41장 구절이다.

이어지는 구절도 기법이 같다. “그러므로 아주 큰 사각형은 귀가 없고(大方無隅), 큰 그릇은 늦게 완성된다(大器晩成). 아주 큰 소리는 고요하고(大音希聲), 아주 큰 형상은 모양이 없다(大象無形).” 여기에 나오는 만성(晩成)은 본래 ‘아직 이뤄지지 않음’을 뜻하는 말로, 거의 이뤄질 수 없다는 의미가 강하다.

후일에 이 말이 ‘늦게 이룬다’는 뜻으로 쓰이게 된 것은 최염 장군의 일화에서 비롯된 듯하다. 최염은 삼국시대 위나라 장군이다. 그에겐 최림이라는 사촌동생이 있었는데 외모가 볼품없고 출세가 늦어 친척들이 그를 멸시했다. 하지만 그의 재능을 알아본 최염이 말했다. “큰 종이나 큰 솥은 쉽게 만들어지는 게 아니고, 큰 인물도 성공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법이네. 네가 보기에 자네는 대기만성(大器晩成)형이네.” 최염의 말대로 최림은 천자를 보좌하는 삼공(三公)의 직위에까지 올랐다. 《삼국지》 ‘후한서’에 전해오는 일화다.

대기만성(大器晩成), 큰 그릇은 늦게 이뤄진다. 조급하면 되레 일을 망친다. 서너 번 실패했다고 주저앉고, 두렵다고 물러서고, 자신없다고 쭈뼛대면 기회는 결코 당신을 두드리지 않는다. 누군가 말하지 않았나. “성공은 쓰러진 것보다 한 번 더 일어서는 거라고.” 삶은 그리 짧지 않다. 오늘의 늦어짐으로 내일을 예단하는 건 어리석은 일이다. 한데 크게 이루려면 오늘을 단련해야 한다. 두 손 놓고 기다리는 건 허송세월이다.

신동열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shins@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