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미소금융을 필두로, 서민금융은 지난 10년간 37조5000억원(576만 명)이 지원됐다. 상품 세부종류도 20여 종에 이를 만큼 양적 팽창을 이뤘다. 하지만 명색이 서민금융인데도 제도권 금융회사를 이용할 수 없는 신용등급 8등급 이하인 진짜 서민들에겐 ‘그림의 떡’인 게 사실이다. 햇살론(생계자금) 지원자 중 8등급 이하는 14.1%에 불과하다. 대부업체들조차 법정 최고금리 인하로 연체율이 높은 저신용자를 기피해, 이들이 갈 곳이라곤 고리 사채뿐인 실정이다.
따라서 ‘서민은 못 받는 서민금융’을 개선하려는 취지는 십분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서민금융도 엄연히 ‘금융’임을 간과해선 곤란하다. 자기책임 원칙과 “빚은 반드시 갚아야 한다”는 기본전제가 흔들리면, 아무리 지원액을 늘린들 밑빠진 독이 될 뿐이다. 서민금융 연체율은 최고 30%에 달한다. 상환의지·계획만 보고 돈을 빌려주라는 정부 방침에 대해, 금융권이 “상환의지를 어떻게 평가하느냐”고 반발하는 이유다.
그런 점에서 서민금융이 ‘금융’인지 ‘복지’인지부터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최종구 위원장이 “애초에 금융이 아니라 복지로 접근해야 할 사람에게 자금을 공급한 건 아닌지 문제를 찾아봐야 한다”고 언급한 것을 보면, ‘복지’ 쪽으로 좀 더 기운 듯하다. 하지만 금융을 복지수단으로 이용할수록 신용사회는 요원하고, 도덕적 해이는 만연할 수밖에 없다. 일자리와 연계되지 않은 서민금융은 효과도, 지속성도 떨어지게 마련이다. 정부는 제도 개편에 앞서, 역대 정권마다 대대적 빚탕감과 서민금융 확충에 나섰어도 왜 실효를 거두지 못했는지 깊이 분석하고 성찰하기 바란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