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륜아' 오이디푸스 받아들인 아테네… 용서와 관용을 보이다

입력 2018-07-27 17:08  

소포클레스와 민주주의
배철현의 그리스 비극 읽기 (11) 용서(容恕)




소포클레스의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는 그가 사망한 해인 기원전 406년 완성됐다. 기원전 401년 아테네 비극 경연인 디오니시아 축제에서 초연됐다. 이 작품은 《오이디푸스 왕》 《안티고네》와 함께 소포클레스의 ‘3대 테베비극’으로 불린다.

오이디푸스는 자신이 왕으로 치리(治理)하던 테베에서 떠난다. 그는 아내이자 어머니 이오카스테의 몸을 장식하던 옷핀으로 자신의 눈을 찔러 장님이 됐다. 수많은 사람을 이끌던 왕이 이젠 발 한 걸음도 누구의 도움 없이는 옮길 수 없다. 오이디푸스는 딸 안티고네의 손에 이끌려 아테네 근처에 있는 마을 콜로노스에 도착한다. 소포클레스는 오이디푸스를 왜 이곳으로 이주시켰을까. 그는 이 작품을 통해 아테네 관객들에게 무엇을 전달하려고 했을까.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는 비극적인 운명에 굴하지 않는 인간 존엄성에 대한 찬양이다. 소포클레스가 이 작품을 쓴 이유를 살펴보기 위해선 먼저 《오이디푸스 왕》과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의 관계를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이 비극 작품이 쓰이고 상연된 기원전 5세기 말, 아테네의 철학을 파악해야 한다.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는 《오이디푸스 왕》에서 완결되지 않은 오이디푸스의 비극적인 말년을 소개하기 위해 기록된 것이 아니다. 소포클레스는 자신이 상상한 극 중 인물의 일관성보다는 그 당시 비극을 관람하는 관객들에게 던지는 메시지를 중요하게 여겼다. 극 중 인물의 일관성을 중요하게 생각한 극작가 셰익스피어와는 다르다.

이 두 비극 작품의 주인공은 분명 오이디푸스다. 그러나 오이디푸스의 개성(個性)은 두 작품에서 다르다. 《오이디푸스 왕》은 영웅이 오만으로 명성과 권력을 잃는 비극적인 과정을 다뤘다. 반면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는 더 이상 불행할 수 없는 한 인간이 어떻게 신적인 인간으로 부활하는지를 보여준다. 그리스인들에게 인간만큼 흠모할 만한 기적은 없다. 사실 그리스 비극 작품들은 불운에도 불구하고 불굴의 의지로 자신의 개성을 지키려는 인간의 숭고함을 감동적으로 전한다. 기원전 6세기 에베소스의 철학자 헤라클리토스가 말한 것처럼 한 인간의 습관에 의해 서서히 만들어지는 개성이 곧 그 사람의 운명(運命)이기 때문이다.

에우리피데스

소포클레스가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 대본을 썼을 때, 아테네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었을까. 그리스 비극이란 장르를 시작한 아이스킬로스는 이미 죽은 지 50년이나 지났다. 또 다른 위대한 비극 작가인 에우리피데스는 74세였고, 소포클레스는 90세였다. 위대한 그리스 비극 전통은 이들에게서 마친다. 이들을 잇는 비극 작가는 없었다. 기원전 405년 소포클레스와 에우리피데스가 죽은 뒤 아리스토파네스가 등장해 비극이 아니라 ‘희극’이란 장르를 《개구리》라는 작품으로 시작했다. 아리스토파네스는 그 시기에는 인간에게 비극보다는 희극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 세 명의 비극 작가 중 나이가 가장 적은 에우리피데스는 비극의 전통에서 벗어나 인간이 이해할 수 없는 영역을 이성적으로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에우리피데스는 소위 ‘데우스 엑스 마키나(deus ex machina)’ 즉 ‘임기응변의 신’을 만들어 극의 전개에서 도저히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쉽게 해결했다. 무대 꼭대기에서 기계장치를 타고 무대로 내려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아이스킬로스나 소포클레스는 인간이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은 신들의 영역이라고 믿고, 그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해소’시켰다. 그러나 에우리피데스는 신을 느닷없이 등장시켰다. 그 신은 인간이 해결하지 못하는 영역은 없다는 이성주의의 꼭두각시다. 철학적인 도구와 도덕적인 숙고로서의 비극이 자취를 감추기 시작했다. 이것이 《시학》의 저자인 아리스토텔레스와 《비극의 탄생》의 저자인 프리드리히 니체가 에우리피데스를 비난한 이유다.

용서

소포클레스는 페리클레스와 아이스킬로스가 시작한 그리스 민주주의가 무너지고 있는 현실을 목격했다. 그리고 그 민주주의를 건설하기 위한 토대인 ‘숙고하는 개인’을 위한 대중 교육인 비극 경연이 곧 사라질 것이란 사실도 알았다. 기원전 468년 비극 경연에서 소포클레스가 아이스킬로스를 이겼을 때, 소크라테스(기원전 470~399년)는 석공인 아버지 공방에서 기어 다니고 있었다. 그는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가 아테네에서 초연된 후 2년이 지난 기원전 399년에 아테네 시민법정에서 사형선고를 받았고 독배를 마시고 죽었다. 그 당시 아테네에서 일어나고 있었던 사건들은 소포클레스나 소크라테스의 운명을 바꿔 놓았을 뿐만 아니라 인류정신사의 분수령이 됐다. 소크라테스는 법정에서 인간 개인의 도덕적 책임이 인류 발전의 모체가 될 것이라고 예언한다. 소포클레스는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에서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용서(容恕)’라는 원칙을 소개했다. 소포클레스는 그리스도교의 사랑과 용서라는 원칙이 등장하기 400여 년 전에, 이미 도덕의 중요성과 함께 사랑과 용서의 중요성을 선포했다.

소포클레스는 오이디푸스란 신화적인 인물을 통해 반(反)인륜적인 죄의 무게를 가늠해 봤다. 《오이디푸스 왕》에서 오이디푸스는 자신의 운명을 저주하고 관용을 요구하지 않았다. 오이디푸스는 자신의 신체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인 두 눈을 스스로 상하게 만들어 장님이 됐다. 그는 자신의 죄가 모든 사람에게 드러나자 스스로 망명(亡命)을 선택했다. 망명이란 자신의 생명을 보호해 줄 보금자리로부터 자신을 유리(遊離)해 목숨을 위태롭게 만드는 상황이다. 장님인 오이디푸스는 낯선 땅에서 스스로 죽음을 선택한 것이다.

그러나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에서 오이디푸스는 다른 인간이다. 그는 자신이 의도하지 않게 저지른 죄를 용서해 달라고 간절히 애원한다. 콜로노스는 아테네가 치리하는 광역관찰지역이다. 아테네의 왕 테세우스는 오이디푸스가 주장하는 ‘용서’라는 이 새로운 원칙이 무엇인가에 대해 배운다. 소포클레스는 죄를 지은 자를 무조건 용서해 줘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그는 죄를 지은 자는 반드시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믿었다. 소포클레스는 많은 아테네인이 무고하게 사형선고를 받는 반면, 사회에 해악을 끼치는 범죄자들은 벌을 받지 않고 지내는 아테네, 즉 정의가 실현되지 않는 아테네에 살고 있었다. 그는 도덕적 철학은 검증이 필요하며, 그것이 아테네 문명을 지탱하는 기반이라고 생각했다. 소포클레스의 이런 주장의 배경에는 아테네의 역사적인 불행이 있었다.

‘30인 참주들 시대’

소포클레스가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를 마지막 유작으로 저술하고 사망하고 나서 이 작품이 아테네 야외 원형 극장에서 초연되기까지 6년이란 세월 동안 아테네 민주주의는 위기에 봉착했다. 그리스에선 아테네가 중심이 된 델로스동맹과 스파르타가 중심이 된 펠레폰네소스동맹 간의 전쟁이 기원전 431년부터 404년까지 27년 동안 벌어졌다. 아테네는 이 전쟁에서 패했다. 이 기간에 테베인들과 코린토스인들은 아테네를 초토화하고 아테네 시민들을 모두 노예로 삼자는 안을 내놓았다. 그러나 스파르타인들은 이들의 과도한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대신 기원전 404~403년 스파르타의 장군 리산드로스가 아테네 민주주의를 폐지하고 30명의 참주(潛主)들이 치리하는 과두정치체계를 수립했다. 이들 중 정권을 잡은 크리티아스란 참주가 민주주의 성향의 시민 1500명을 살해하고, 많은 시민들의 재산을 몰수하고 추방시키는 등 공포정치가 판을 쳤다. 이후 민주주의를 신봉하는 트라시불로스가 기원전 403년 1월 페레우스에서 크리티아스가 이끄는 과두파에 승리를 거두면서 그해 6월 민주주의가 부활했다.

죽음을 담보하는 투쟁을 통해 민주주의를 찾은 아테네 시민들은 기원전 401년 원형 극장에 모여 소포클레스의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를 관람했다. 그들은 아테네의 왕 테세우스가 테베의 왕 오이디푸스를 용서하는 비극을 보면서 아테네 민주주의의 위대함과 관용에 감동했다.

소포클레스는 자신의 삶을 마감하는 작품으로 이 비극을 지으면서, 쇠락하는 아테네가 과거의 영광을 되찾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문명이 사라질 위기에 봉착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는 오이디푸스를 아테네 근처 콜로노스로 데려간다. 콜로노스는 소포클레스의 고향이다. 오이디푸스는 이곳에서 추방당하지 않고 보호받을 것이다. 오이디푸스는 대신에 아테네와 테베의 전쟁에서 아테네가 승리할 것이라고 예언한다. 이 승리는 오이디푸스가 매장될 무덤 위에서 이뤄질 것이다. 그러나 그 장소는 비밀이다.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는 오이디푸스가 안티고네의 손에 이끌려 콜로노스에 있는 거룩한 땅에 도착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눈먼 노인의 딸 안티고네야, 우리가 대체 어떤 곳에, 어떤 사람들의 도시에 온 것이냐? 오늘은 또 누가 떠돌아다니는 오이디푸스를 보잘것없는 동냥으로 맞아줄 것인가?(…) 우리는 이방인들이라 이곳 주민들에게 배워야 하고 그들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1~13행) 오이디푸스는 이곳에서 용서를 말하기 시작했다.

배철현 <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 >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최저금리로 갈아탈 수 있는 마지막 버스, 신용·미수·예담 대환하고 취급수수료 할인 받자!
[내일 폭등] 예상종목 지금 공짜로 확인하세요! "신청 즉시 무료발송 Click! >>>"
[급등임박 공개] 2018년 하반기 "정부정책" 수혜주 TOP 10 긴급공개 >>> (바로확인)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