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부과를 강행했다. 중국이 어떤 대응에 나설지에 세계의 관심이 쏠려 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장기화되면 중국과 경쟁하고 있는 한국 산업에는 반사이익이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한국 시간) 성명서를 통해 오는 24일부터 연말까지 약 2000억달러(226조원)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10% 관세를 부과하라고 미 무역대표부(USTR)에 지시했다고 밝혔다. 내년부터는 25%의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또 중국이 보복관세로 대응할 경우 추가적으로 2670억달러의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번 성명에 대한 한국 증시의 반응은 나쁘지 않다. 장 초반 0.68%까지 하락했던 코스피지수는 오전 10시32분 현재 낙폭을 줄여 약보합권까지 올라왔다.
관련 불확실성의 완화로 상승세가 나타날 것이란 관측이다. 조연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중간선거 이전에 10% 관세를 발효하고, 25% 관세 부과는 내년으로 연기됐다"며 "25% 고율 관세부과가 2019년으로 지연됐다는 점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또 관세부과 품목에 무선통신기기 등 고부가가치 부품들이 제외되면서 기존안보다 기업들에 미치는 여파가 크지 않을 것이란 판단이다. 록펠러재단에 따르면 10% 관세부과 시 미국 기업들의 주당순이익(EPS) 감소 효과는 3%에 불과하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장기화될 가능성을 감안하면, 한국 기업에 새로운 기회가 생길 것이란 전망도 있다. 무역분쟁으로 중국으로의 중간재 수출이 막힐 것이란 우려가 많지만, 중국과 대미 수출 경합도가 높았던 업종에는 긍정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무역분쟁이 장기화된다면 미국 현지 업체들이 중국산 자동차 부품 조달을 재검토하게 될 가능성이 생긴다"며 "중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하락한다면 한국 부품회사들에겐 공급선 확대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중국과 수출 경합도가 높았던 품목은 차체 부분품, 운전대, 클러치, 타이어 등 92억달러 규모란 설명이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의 목적이 미국에 직접 투자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라 현지화가 중요하다고도 했다.
박 연구원은 "자동차 부품은 정보기술(IT) 조선 석유화학 섬유 등에 비하면 중국과 수출 경합도가 높지 않았던 산업"이라며 "최근 중국 경쟁력이 높아진 2차전지 휴대폰부품 디스플레이 카메라 등에서도 중국 업체들의 공급망 탈락 영향이 있는지 점검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