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고모자'(밀짚모자)로 한껏 멋을 낸 뒤 '끽다점'(찻집)에 앉아 얘기를 나눴다.
홍성호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우리 사회는 지난 한 세기 동안 상전벽해와 같은 발전을 이뤄왔다. 말과 글도 이에 못지않은 변화를 겪었다. “근일에 와서는 조선에서도 ‘모던껄’이니 ‘모던뽀이’니 하는 말이 류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어떠한 진정한 의미의 ‘모던’은 아즉 업다고 생각한다.” 동아일보는 1929년 5월 25일자에서 당시 새로 등장한 모던걸, 모던보이의 행태를 이렇게 전했다. 한글 맞춤법도 없던 시절이다 보니 표기는 뜻만 통하면 될 정도였다.
사전에는 말과 함께 사회 변천 담겨
‘모던껄’ ‘모던뽀이’는 1920~1930년대 선진문물 유입과 함께 유행을 선도한, 지금으로 치면 신세대에 해당하는 이들이었다. 신문에선 이를 줄여 모껄, 모뽀 식으로도 썼으니 언론의 약어 선호는 꽤나 오래됐음을 알 수 있다. 당시 경성의 모던뽀이들은 머리에 ‘포메드’(포마드)를 바르고 ‘맥고모자’(밀짚모자)로 한껏 멋을 낸 뒤 ‘끽다점’(찻집)에 앉아 얘기를 나눴다. 이런 말들은 모두 1940년 문세영의 <수정증보 조선어사전>에 표제어로 올라 단어가 됐다.
새로운 유행의 흐름은 1950년대 ‘단스바람’으로 이어졌다. 당시 큰 인기를 끈 영화 ‘자유부인’의 영향으로 댄스 열풍이 분 것이다. 최초의 우리말 대사전인 <큰사전>(한글학회, 1957년)을 비롯해 이즈음 간행된 사전은 ‘단스’ ‘단스홀’ ‘유한마담’ 등과 같은 낱말을 실었다. 춤바람 풍조는 1982년 민중서림의 <국어대사전>에서 올린 ‘제비족’으로 이어졌다.
1960~1970년엔 군부 독재에 대한 저항과 히피문화 등 자유를 중시하는 서양 문화의 영향으로 ‘장발족’이 생겨났다. 가수 윤복희의 패션을 계기로 ‘미니스커트’도 유행했다. 이런 변화는 <새우리말 큰사전>(삼성출판사, 1975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나팔바지’ ‘통기타’ ‘팡탈롱’(판탈롱)이 사전(국어대사전, 민중서림)에 오른 것도 이즈음이다. 모두 어르신들에게는 아련한 향수를, 젊은이에겐 낯설지만 재미있는 우리말 맛을 느끼게 해주는 낱말들이다.
디지털시대엔 종이사전의 가치 더 빛나
1990년대 경제적 풍요 속에 강한 개성을 지닌 새로운 세대가 등장했다. 이들을 가리키는 ‘엑스(X)세대’ ‘신세대’란 말이 탄생한 것도 이때쯤이다.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원, 1999년)이 이들을 반영했다. 하지만 당시 사회적 지탄과 더불어 일부 계층에서 유행한 ‘오렌지족’이니 ‘명품족’이니 하는 말은 미처 오르지 못했다. 2009년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이 나올 때 표제어로 올라 비로소 단어가 됐다.
2010년대 들어선 ‘삼포세대’니 ‘공시족’ 같은 용어가 나와 우리 사회의 그늘을 짙게 드리웠다. 이런 말은 부디 사전에 오르지 않고 한때의 유행어로 흘려보낼 수 있게끔 우리 경제·사회가 한 차례 더 도약해야 할 때다.
사전은 우리말뿐만 아니라 사회 변천상까지 담고 있는 보물창고다. 내일(10월9일)이 572돌 한글날이다. 마침 개화기부터 최근까지 우리말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서울 용산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사전의 재발견’이란 주제로 지난달 개막해 오는 12월25일까지 계속된다. 우리말 사전의 역사를 다룬 첫 전시회다.
140여 년 전 나온 우리말 대역사전인 ‘한불자전’ 원고를 비롯해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분실했다가 해방 뒤 서울역 화물창고에서 극적으로 되찾은 <조선말 큰사전> 원고 등 미공개 자료를 만날 수 있다. 우리말을 지키고 가꾸는 데 밑거름이 된 귀한 자료들이다.
hymt4@hankyung.com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최저금리로 갈아탈 수 있는 마지막 버스, 신용·미수·예담 대환하고 취급수수료 할인 받자!
[내일 폭등] 예상종목 지금 공짜로 확인하세요! "신청즉시 무료발송 CLick! >>>"
[급등임박 공개] 2018년 하반기 "정부정책" 수혜주 TOP 10 긴급공개 >>> (바로확인)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