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는 전국 201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인력수급, 근로시간, 임금 등 일자리 현황과 정책동향에 대한 ‘중소기업 일자리 실태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근로시간 단축과 최저임금 인상이 동시에 추진되면서 급격한 일자리 질의 변화는 중소기업의 ‘구인난’과 ‘인건비 부담’을 가중시키고 중소기업 일자리의 질적 성장과 양적 성장을 어렵게 만든다는 게 중기중앙회의 설명이다.
중소기업 10개 중 4개사는 정부의 일시적인 지원으로 인력난을 해결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인난에도 ‘경기 전망 불확실’(32.3%)과 ‘인건비 부담 가중’(31.9%), ‘경영악화 및 사업 축소’(18.3%) 등으로 중소기업 82.9%가 “하반기 채용계획은 없다”고 답했다. 상반기에도 73.6%가 채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은 가중되는 인건비 부담을 결국 신규채용 축소, 감원 등 '고용축소'(60.8%)와 '대책 없음'(26.4%) 등으로 대응한다고 응답했다. 취업한 근로자도 신규 입사 후 3년 이내에 이직하는 비율이 33.7%로 높았다. 평균 근속연수도 6.4년에 불과해 장기적인 인력수급이 어려웠다.
10개 중 4개사는 근로자가 ‘정년 전 이직하는 이유’와 ‘인력난이 지속하는 이유’로 ‘급여·복지 수준이 낮다’는 점을 꼽았다. 근로시간 단축 때 필요한 지원방법으로는 ‘추가 채용을 위한 인건비 지원’(43.8%)이란 응답이 많았다.
1인당 연차휴가 사용비율은 47%였고 사용이 저조한 주된 이유는 ‘대체인력이 없어서’(48.6%)였다. 육아휴직은 근로자가 ‘경제적 이유’(33.8%) 혹은 ‘대체인원 구인난’(26.9%) 때문에 신청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직종별 근로자 평균 월급은 연구·개발직이 305만1000원으로 가장 높았고, 단순노무직이 203만3000원으로 가장 낮았다.성수기 시기와 기간은 업종별·기업별로 차이가 있었다. 매년 성수기가 고정적인 경우 평균 5.6개월로 나타나 유연근로시간제 단위 기간이 1년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과급제(51.8%), 직무급제(27.3%)가 효율적이라고 응답이 많았다. 중소기업 63.6%는 상여금 또는 성과급을 지급했다.
이재원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일자리 질에 초점을 맞춘 급격한 노동정책의 변화는 중소기업의 인건비 부담과 구인난을 가중시키고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양극화를 심화시킨다”며 “기업이 개별 여건과 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노동시장을 유연화하는 것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기 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고 말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