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 로거 "평범한 일을 비범하게"…디지털 시대 더 잘나가는 아날로그 연필의 비결은 혁신

입력 2019-02-21 17:07  

Global CEO & Issue focus

9대째 이어오는 장수 가족기업 파버카스텔 다니엘 로거 CEO

258년 된 세계 최고 연필업체
최초 연필 이어 6각형 제품 개발
140여개국서 연 1조원 매출 올려

장수기업의 비결은 '혁신'
땅에 던져도 심 부러지지 않고 어린이가 연필 입에 넣어도
해롭지 않게 친환경 페인트 사용

사회적 책임 다하는 게 경영전략
19세기에 이미 직원 연금·복지 도입
30년 전부터 브라질 등에 숲 조성도



[ 설지연 기자 ] 독일의 세계적 필기구 브랜드인 파버카스텔(Faber-Castell)은 1761년부터 9대째 이어오는 장수 가족기업이다. 19세기 유럽에서는 연필을 ‘파버’라고 불렀을 정도로 이 브랜드는 연필의 대명사가 됐다. 빈센트 반 고흐와 괴테, 며칠 전 타계한 샤넬의 전설적인 디자이너 칼 라거펠트, ‘도널드 덕’을 그린 만화가 칼 바크스에 이르기까지 파버카스텔 연필을 애용한 예술가는 차고 넘친다.

디지털 시대에 누가 연필을 쓸까 싶지만 258년 된 이 문구회사는 놀랍게도 매년 성장 중이다. 연간 20억 자루의 연필을 생산해 세계 140개국에서 연 1조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파버카스텔은 규모는 크지 않지만 최고 경쟁력을 자랑하는 독일의 ‘히든챔피언’ 기업이다. 대를 이어 연필 사업을 전문화하면서 승승장구하고 있다. 창업 후 줄곧 가족경영을 해 왔지만 2017년 처음으로 외부 인사를 영입해 최고경영자(CEO) 자리를 맡겼다. 스위스 출신 다니엘 로거 CEO는 스와치그룹 부사장을 지낸 인물이다. 그는 디지털 시대에 더 잘나가는 아날로그 제품을 팔 수 있는 비결로 혁신을 꼽는다. ‘평범한 일을 비범하게 하는 것’이 오래 살아남는 비결이라고 그는 강조한다.

세계 최장수 연필 제조 기업

18세기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시작한 이 기업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연필 생산 업체다. 카스파르 파버와 아들 안톤 빌헬름 파버가 창업했고 손자인 4대 회장 로타 폰 파버 때 그 명성이 세계적으로 알려졌다. 처음 회사 이름은 안톤 빌헬름 파버의 이름을 딴 A.W.파버였다.

캐비닛 제조업자였던 카스파르 파버는 넓적하고 얇은 나무막대기 두 개 사이에 흑연 심을 끼워넣은 최초의 연필을 선보였다. 이후 로타 폰 파버는 책상에서 굴러떨어지지 않는 육각형 연필을 개발했고 연필심에 경도(굳기) 개념을 처음 도입했다.

현재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연필의 형태도 이때 완성됐다. 세계 연필 길이 표준은 18㎝인데 이걸 최초로 정한 것도 파버카스텔이다. 프랑스 나폴레옹 3세가 특사를 보내 이 경영 노하우를 벤치마킹했다는 얘기도 있다.

로타 폰 파버는 파버카스텔을 글로벌화하고 누구나 쓰는 연필에 브랜드를 붙여 상품화한 인물이다. 그는 뉴욕과 영국 등에도 자회사를 설립해 진출했다. 당시 필기구 시장에선 영국과 프랑스 업체가 선발주자였지만 파버카스텔은 금방 이들을 앞질렀다. 1856년에는 시베리아의 고품질 흑연 광산을 인수하면서 브랜드 이름을 널리 알리기도 했다. 세계로 영역을 확장한 결과 오늘날 판매 국가는 140개에 이른다.

1898년에 파버 가문의 오틸리에 폰 파버가 독일 귀족가문 출신인 알렉산더 카스텔 뤼덴하우젠 백작과 결혼했고, 이때부터 두 가문의 이름을 따서 파버 가문의 성과 회사 이름을 파버카스텔로 바꿨다. 지금 소유주는 찰스 그라폰 파버카스텔로 9대째다. 38년 동안 회사를 이끈 아버지 안톤 볼프강 파버카스텔이 2016년 작고하면서 물려받았다. 40세인 그는 아직 경영을 총괄하기엔 이른 나이라는 가문의 판단에 따라 고급 필기구 라인인 그라폰 파버카스텔 부문만 맡고 있다. 파버카스텔은 그를 대신해 기업 창립 이후 처음으로 외부 인사인 로거 CEO를 스카우트해 기업 경영 전반을 이끌게 했다.

연필 하나에 혁신이 가득

로거 CEO는 한국을 50여 차례 방문했다. 그는 파버카스텔이 장수기업이 된 비결로 혁신을 꼽는다. 로거 CEO는 “나무연필 만드는 데 무슨 혁신이 필요할까 싶지만 곳곳에 혁신의 결과가 담겨 있다”고 말한다. 연필을 뾰족하게 깎은 뒤 땅에 던지더라도 심이 부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 어린이가 연필을 입에 넣어도 해롭지 않게 친환경 수성페인트를 쓰는 것, 연필심을 경도에 따라 단계별로 나눈 것 등이 모두 혁신이란 설명이다.

육각형 연필 모양은 파버카스텔이 선보인 가장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꼽힌다. 육각형은 원형, 팔각형 연필과 비교할 때 경사면에서 굴러떨어질 확률이 확실히 낮다고 한다. 굴러떨어질 확률이 낮은 것만 따지면 연필을 삼각형으로 만들어도 되지만, 이 경우 상대적으로 생산비가 많이 든다. 손으로 쥐었을 때의 느낌도 육각형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제조되는 연필의 단단함과 진함의 구분도 파버카스텔이 처음 정한 기준을 따르고 있다. 이전엔 B, H 등의 기준이 없었지만 파버카스텔이 연필심의 종류를 나누고 규격화했다.

지속가능한 나무연필 위해 숲 조성

로거 CEO가 강조하는 파버카스텔의 또 다른 경영 전략의 핵심은 직원을 존중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다. 한때 파버카스텔은 독일 공장을 체코로 이전하면 임금을 3분의 1로 줄일 수 있었지만 30년 이상 숙련된 노동자를 위해 공장을 유지했다. 장인을 존중하는 기업이라는 명성을 얻었다.

이 회사는 비스마르크가 독일을 통일하고 사회복지정책을 도입하기 이전부터 사내 건강보험, 연금제를 시행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19세기에 이미 직원을 위해 사택을 제공하고 자녀 교육도 지원했다. 1884년 직원 자녀들이 다닐 수 있게 설립한 유치원은 독일 최초의 기업 부설 유치원이다.

지속 가능한 기업이 되기 위해 사회적 책임에도 힘을 쏟고 있다. 매년 20억 자루 이상의 나무연필을 생산하면서 15만t 이상의 목재를 사용하다 보니 30년 전부터 직접 숲을 조성하고 있다. 단기 이익에 집착하기보다 20년, 30년 앞을 내다보는 전략에 따른 것이다. 브라질에 조성한 100㎢ 규모의 소나무 숲은 유엔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에도 등록됐다. 콜롬비아 등에서도 산림 조성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설지연 기자 sjy@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