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깝게는 선거 후유증에서 벗어나야 한다. 김 회장도 당선 인사말에서 “선거로 갈가리 찢어진 중앙회는 화합으로 뭉쳐야 한다”고 했다. 중앙회장 선거는 과거에도 후유증을 남겼다. 소송 등으로 1~2년은 회장이 힘을 쓰지 못하는 일도 있었다. 이번에도 각종 흑색선전과 금품 살포 등에 대한 고소 고발이 잇따랐다.
중앙회 주변에서는 김 회장이 각 후보들을 만나 화합하는 자리를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또 김 회장이 회장·부회장(25명)·이사(30명)로 구성된 중앙회 이사회를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선거 당일 부회장 12명과 이사 20명을 선출해 부회장 13명과 이사 10명을 이사회에 추가할 수 있다. 한 이사장은 “각 후보 핵심 참모들에게 부회장이나 이사 자리를 줌으로써 화합의 매개 역할을 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임 박성택 회장이 실시한 주요 정책을 이어가고, 그가 중용한 사람을 계속 써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청렴한 중앙회, 스마트공장 구축 확산, 원부자재 공동구매 등의 정책이다. 2007년 처음 중앙회장에 당선된 김 회장은 전임 회장이 중용한 중앙회 간부를 적극 활용해 좋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가 선거 기간 주장한 강력한 중앙회 재건도 말처럼 쉽지는 않다. 중소기업인들은 자신의 이해를 대변할 강력한 리더십을 원하고 있지만, 이는 정부와 호흡이 맞았을 때 가능한 일이다. 지금은 문재인 정부와 각을 세울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그렇다고 소상공인연합회처럼 삭발하고 투쟁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이를 의식한 듯 김 회장도 “경제 현안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특단의 대책을 찾아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했다. 특단의 대책을 찾는 것도, 이를 관철시키는 것도 쉽지 않다. 또 대부분의 정책이 입법을 하지 않으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부 여당 야당을 모두 설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하는 숙제가 놓여 있다.
당장의 과제도 있다. 최저임금과 함께 현안이 된 주 52시간 근무제다. 52시간 근무제는 50인 이상~300인 미만 중소기업에 내년 1월부터 적용된다. 하지만 현재 이 규모 기업들 중 대응 방안을 갖고 있는 기업은 몇 안 된다는 게 기업인들 하소연이다.
중앙회의 근간인 협동조합 활성화와 미래 먹거리 발굴도 해야 한다. 재정난에 시달리는 협동조합의 자생력을 키우고 개별 기업이 어려워하는 부분을 협동조합 차원에서 해결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게 협동조합 관계자들 주장이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