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근당이 면역조절제(면역억제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종근당은 지난해 면역조절제로 754억50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국내 제약사 가운데 독보적이다. 경쟁사들의 관련 매출은 100억원 미만으로 추정된다. 면역조절제는 장기이식 거부반응 방지나 크론병, 류머티즘관절염, 루프스신염 등 자가면역질환에 쓰는 약이다. 종근당은 모두 9개의 면역조절제를 보유하고 있다.
김영주 대표는 “면역조절제는 연구개발(R&D) 난도가 높은데 오래 전부터 관련 투자를 꾸준히 하고 임상 데이터를 쌓다보니 더 탄력을 받았다”며 “향후에도 지속으로 성장을 할 것으로 판단돼 제네릭을 넘어 혁신 신약 개발에까지 나섰다”고 말했다.
◆면역조절제 매출 2년간 17.3%↑
17일 종근당에 따르면 이 회사의 면역조절제 매출은 지난 2년간 17.3% 증가했다. 2016년 643억3000만원, 2017년 697억1000만원, 지난해 754억5000만원이었다. 지난해 매출은 종근당 전체 매출 9557억원(잠정치)의 7.9%에 달한다. ‘혁신 신약 개발’이라는 미래 먹거리로서의 의미 뿐만 아니라 현재 먹거리로서의 의미도 크다는 얘기다. 품목별로 보면 가장 비중이 큰 건 타크로벨로 지난해 400억30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종근당이 면역조절제를 처음 출시한 건 1995년이다. 당시에는 아사히카세이의 브레디닌(정)을 수입해 판매했다. 이후 복제약을 잇따라 출시했다. 1996년 첫 면역조절제 제네릭인 사이폴엔(연질캡슐)을 출시했고 2004년 타크로벨(캡슐), 2008년 타크로벨(주사제)을 잇따라 내놨다.
2010년대 중반을 넘어서며 관련 투자를 더욱 강화했다. 2016년 마이렙틱엔(장용정)을, 2017년 타크로벨(서방캡슐)을 출시했다. 지난해에는 써티로벨(정), 라파로벨(정) 등 2개를 한꺼번에 내놨다. 모두 노바티스, 아스텔라스, 로슈, 화이자 등 글로벌 제약회사의 약이 오리지널이다. 면역조절제 제네릭 8개 가운데 기간이 지나 특허가 스스로 끝난 마이렙트(캡슐)와 라파로벨(정)을 제외하고는 모두 특허회피 설계를 하거나 관련 소송을 거칠 정도로 투자에 적극적이었다.
◆“복제약이 혁신 신약 마중물 됐다”
종근당은 그동안 쌓인 면역조절제 R&D 역량과 경험을 바탕으로 류머티즘관절염 신약 ‘CKD-506’를 개발중이다. 이 신약 후보물질(파이프라인)로 유럽에서 임상시험 2상을 하고 있으며 2020년 끝난다. CKD-506은 염증성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는 체내 효소 히스톤디아세틸라제6(HDAC6)를 억제하는 약으로 개발되고 있다. 최근 주목 받는 류머티즘관절염 약은 모두 주사제인데 CKD-506는 먹는 약이라 환자 편의성이 크다.
이 파이프라인은 종근당에게 적응증(약이 치료할 수 있는 질병) 확대로서의 의미가 크다. 그동안 종근당이 내놓은 면역조절제는 대부분 장기이식에 따른 거부반응 방지에 쓰는 약이다. 일부 약은 류머티즘관절염에도 쓸 수 있지만 표준 치료법이 안통하는 사람에 한해 제한적으로 쓰는 수준이다. 종근당은 CKD-506의 적응증을 류머티즘관절염 뿐만 아니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 염증성 장질환으로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한 해외 임상을 내년에 시작한다. 시장 규모가 더 큰 자가면역질환으로 보폭을 넓히겠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면역조절제 제네릭 R&D 투자는 혁신 신약 개발의 마중물이었다”며 “그동안의 개발 경험이 없었으면 면역조절제 신약 개발은 엄두도 못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시장에서 강자로서의 입지를 확실하게 굳히겠다”고 강조했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