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형석 기자 ] “한국 공공부문은 만만찮은 시장입니다. 특히 보안과 관련한 정부 기관의 요구가 상당히 까다로워요.”
지난 14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아마존웹서비스(AWS) 공공부문 서빗 2019’에 참가한 윤정원 AWS코리아 공공부문 대표(사진)가 제일 먼저 꺼낸 말이다.
국내 공공기관들은 ‘보안’을 내세워 외국 클라우드 업체의 진입을 막고 있다. 정부 입찰에 참여하려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인증이 필요한데 데이터센터 위치를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한다. 테러의 표적이 될 가능성을 경계해 데이터센터가 어디 있는지를 숨기는 외국 업체들이 인증받기 어려운 구조다. 국내 기관 대부분이 외부와의 연결을 원천적으로 차단한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고집한다는 점도 국내 시장 진입이 힘든 이유로 꼽힌다.
윤 대표는 정부 관계자들의 통념과 달리 외부와 연결이 가능한 ‘퍼블릭 클라우드’가 더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보안에 문제가 있다면 미국 중앙정보국(CIA) 등 각국 정부기관이 퍼블릭 클라우드를 활용하지 않았을 것이란 설명이다. 그는 “개별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소규모 데이터센터야말로 보안에 취약하다”며 “시스템 점검이나 데이터 업데이트 과정에서 협력 업체들의 정보가 술술 샌다”고 지적했다. AWS가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고객들이 자신의 데이터를 암호화 처리해 보관하면 들여다볼 방법이 없다”고 답했다.
윤 대표는 “AWS를 국내 시장 침략자로 간주하는 시각이 바뀌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는 “넷플릭스, 우버 같은 미국 기업은 물론 스웨덴을 대표하는 음원 스트리밍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스포티파이도 AWS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자신들만의 ‘왕국’을 세웠다”며 “AWS의 본질은 4차 산업혁명을 잘 수행할 수 있는 도구”라고 설명했다.
그는 클라우드 전환의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는 국내 사례로 KAIST 바이오정보시스템 연구실(BISL)을 소개했다. 이곳은 유전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임상시험을 한다. AWS가 외부에 공개된 데이터들을 찾아 제공한 덕에 데이터 세트의 규모를 빠르게 늘릴 수 있었다. 데이터 가공에 필요한 컴퓨팅 자원 역시 AWS에서 공급받고 있다.
그는 “자체 서버를 이용하면 수년이 걸리는 작업을 순식간에 마칠 수 있고, 외부 데이터도 자유롭게 가져다 쓸 수 있는 게 퍼블릭 클라우드의 힘”이라고 강조했다.
워싱턴=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