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온하늘 찍어 우주·외계생명 비밀 밝힌다…스피어엑스 28일 발사 2025-02-12 12:00:02
가능하다"며 "외계생명체 탐사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진 경북대 교수는 "전천 적외선 지도를 처음 가지면 스피어엑스의 3개 주요 연구 외에도 다양한 주제의 추가 연구가 가능하다"며 "활동성 초거대 은하핵의 초대질량블랙홀 같은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hjo@yna.co.kr (끝)...
[사이테크+] "우리은하 중심부 초대질량 블랙홀 공전하는 쌍성계 발견" 2024-12-18 09:41:49
질량 블랙홀인 궁수자리 A* 근처에서 생성된 지 270만년밖에 안 된 쌍성계가 발견됐다. 연구진은 초대질량 블랙홀 근처에서 항성계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라며 이 발견이 극도로 강력한 중력을 가진 환경에서 별이 어떻게 생존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독일 쾰른대 플로리안 페이스커 박사팀은 18일...
[사이테크+] "120억 광년 밖 블랙홀에 물질 빼앗겨 죽어가는 은하 포착" 2024-09-17 05:00:01
중심부에는 다른 대형 은하들과 마찬가지로 초대질량 블랙홀이 있고, 새로운 별 형성이 거의 멈춰 '죽은' 상태다. 디유제니오 박사는 "이전 관측에서도 이 은하가 크기에 비해 별이 많이 형성되지 않는 고사 상태이고 이것이 블랙홀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됐지만 JWST 전에는 이를 자세히 연구하기 어려웠고 현...
사상 최고 해상도로 M87* 블랙홀 관측해보니 2024-08-28 05:45:54
0.87㎜ 파장, 345㎓ 주파수로 M87 은하의 중앙 블랙홀(M87*)을 사상 최고 해상도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0.87㎜ 파장(345㎓)을 초장기선 전파간섭계(VLBI)에 처음으로 성공적으로 적용했다며 앞으로 블랙홀 이미지 해상도를 50% 이상 높여 초대질량 블랙홀의 경계 바로 바깥 영역까지 선명하게 포착할 수...
[사이테크+]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 사상 최고 해상도로 M87* 블랙홀 관측 2024-08-28 05:00:01
첫 적용…블랙홀 관측 사상 최고 해상도"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전 세계 전파망원경들을 연결한 지구 크기 가상 망원경인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ETH)이 0.87㎜ 파장, 345㎓ 주파수로 M87 은하의 중앙 블랙홀(M87*)을 사상 최고 해상도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0.87㎜ 파장(345㎓)을 초장기선...
[사이테크+] 빅뱅 7억년 후 우주에서 별 탄생 멈춘 '죽은' 은하 발견 2024-03-07 07:34:49
초거대 블랙홀이나 별 진화 과정 내부 요인으로 가스가 은하 밖으로 밀려나는 것과 같은 여러 요인으로 별 형성이 느려지거나 중단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공동 저자인 카블리 우주론 연구소 프란체스코 디유제니오 박사는 "별 형성이 멈춘 이유가 블랙홀 때문이든 다른 원인에서든 우주 후반부에서야 관측되기...
[사이테크+] "매일 태양 1개만큼 물질 빨아들이는 초거대 퀘이사 포착" 2024-02-20 05:00:02
초거대망원경(VLT)을 사용해 광학 및 근적외선 파장에서 J0529-4351을 추가로 관측하고 블랙홀 원반(black hole disk) 모델을 사용해 퀘이사의 특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이 퀘이사 중심부의 블랙홀은 연간 태양 질량 370개, 즉 하루 태양 1개 질량에 맞먹는 물질을 빨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블랙홀의 현재...
[사이테크+] 빅뱅 4억년 후 초대질량 블랙홀 포착…관측 사상 最古 블랙홀 2024-01-18 05:00:01
[사이테크+] 빅뱅 4억년 후 초대질량 블랙홀 포착…관측 사상 最古 블랙홀 국제연구팀 "태양 질량의 수백만배 크기…기존 이론에 안 맞는 수수께끼"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빅뱅이 발생한 지 4억 년밖에 지나지 않은 약 130억 년 전 초기 우주에서 자기가 속한 숙주 은하를 먹어 치우고 있는 태양 질량 수백만 배의...
132억 년 된 '최고령' 블랙홀 발견…"빅뱅 초기 생성" 2023-11-07 08:52:47
블랙홀은 빅뱅 이후 4억7천년 뒤에 생성돼 나이가 132억살 정도로 추정된다. 이는 관측 이래 가장 오래된 것으로, 이 블랙홀의 크기는 우리은하에 있는 것보다 10배 가량 더 큰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진은 블랙홀의 무게가 해당 은하계에 있는 별들의 총 질량의 10∼100%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는 우리은하나...
[사이테크+] 아인슈타인이 옳았다…"빅뱅 후 우주서 5배 느린 시간흐름 확인" 2023-07-04 05:00:01
초거대 질량 블랙홀인 퀘이사 190개의 관측 데이터를 사용해 시간 지연을 분석했다. 이전까지 천문학자들은 시간 지연 연구에 거대한 별이 최후에 폭발하는 현상인 초신성을 '표준 시계'로 활용했으나 초신성은 매우 밝지만 초기 우주를 들여다보는 데 필요한 먼 거리에서는 관측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루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