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토요칼럼] 출산율 반등 이어갈 또 하나의 해법 2025-02-07 17:26:56
읽은 클로디아 골딘 하버드대 경제학 교수의 최근 논문은 한국의 저출산 현상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통찰을 제공했다. 골딘 교수는 2023년 여성 최초로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경제학자다. 논문 제목은 ‘아기들과 거시경제(Babies and the Macroeconomy)’다. 논문에서는 거시경제적 변화 속도와 출산율 감소 간 상관관계를...
"콘서트부터 전시까지"…현대카드, 2월 대규모 문화 이벤트 진행 2025-02-05 11:56:48
Screening)' 프로그램을 통해 다큐멘터리 '낸 골딘, 모든 아름다움과 유혈사태'를 상영한다. 사진을 통해 끊임없이 사회적 문제를 기록하고, 소외된 이들의 목소리를 드러낸 사진작가 낸 골딘(Nan Goldin)의 예술 인생을 엿볼 수 있다. 현대카드 스토리지에서는 독특하고 위트 있는 상상력으로 현실과 상상의...
[책마을] 기술 발전이 불평등을 부를까 2025-01-31 18:49:00
2023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클라우디아 골딘 미국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와 같은 대학 동료 로렌스 카츠 교수는 에서 이런 주장에 의문을 제기한다. 숙련 편향적 기술 변화가 최근 나타난 새로운 현상은 아니라는 것이다. 컴퓨터의 발전과 인터넷의 등장이 노동시장에 큰 변화를 몰고 온 것은 사실이지만, 20세기 초반...
"육아 참여 낮은 한국 남성…저출산 원인" 2025-01-05 18:06:34
클로디아 골딘 미국 하버드대 교수(사진)가 한국 저출생의 원인으로 저조한 남성 육아 참여를 꼽았다. 국가적 차원의 보육 정책 필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단순히 보조금을 늘리는 것은 근본적 대안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지난 3일 골딘 교수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25 미국경제학회(AEA)’ 연례총회에서 한국...
클라우디아 골딘 "보육정책, 경제에 지대한 영향" [미국경제학회 2025] 2025-01-04 19:14:08
연구를 해온 골딘 교수는 2023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1990년 하버드대 경제학과 최초의 여성 종신 교수로 임명됐고, 2013년 미국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골딘 교수는 연방 차원의 보육 정책이 없는 미국의 현실을 비판했다. 그는 “우리는 아직도 보편적인 연방 차원의 보육 정책이 없다”며 “(보육 정책이...
美 경제계 빅샷들이 꼽은 올해 키워드는 '관세·AI·인플레이션' 2025-01-03 18:20:09
논문에서 “미·중 간 경제 규모의 비대칭성과 교역 조건의 변화로 중국의 손실은 심화한 데 비해 미국의 손실은 일부 완화됐다”고 진단했다. 2023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클로디아 골딘 하버드대 교수도 이번 미국경제학회에서 주목받는 인물이다. 그는 ‘누가 돌보는가. 돌봄, 돌봄 노동, 그리고 가족 휴가 정책’이라는...
올해 수상자 등 노벨경제학상 받은 23명 학자, 해리스 지지 선언 2024-10-24 06:51:52
교수를 비롯해 작년 수상자인 클라우디아 골딘 하버드대 교수 등이 이름을 올렸다. 앞서 지난 6월에도 스티글리츠 교수를 중심으로 한 노벨경제학상 수상 경제학자 16명이 조 바이든 당시 민주당 대선 후보의 경제 정책이 트럼프 후보 정책보다 우월하다는 내용의 공동 서한을 낸 바 있다. pan@yna.co.kr (끝) <저작권자(c)...
오타니 50-50 홈런볼, 61억에 낙찰됐는데…"주인이 없다?" 2024-10-23 15:49:49
업체 골딘 옥션의 경매에서 오타니의 시즌 50번째 홈런공이 439만2000달러(약 61억원)에 낙찰됐다고 전했다. 순수 경매 금액은 360만 달러(약 50억원)이고, 나머지는 경매 수수료다. 이 금액은 종전 홈런볼 최고액이었던 마크 맥과이어의 시즌 70호 홈런공(300만5000달러·약 41억5000만원) 가격을 가볍게 뛰어넘은 액수다....
최근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는 벤 버냉키·클로디아 골딘…美경제학자가 賞 휩쓸어 2024-10-14 20:32:20
교수가 노벨경제학상을 탔다. 골딘 교수는 성(性)에 따른 임금 격차 연구로 ‘여성과 노동시장’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킨 인물로 평가됐다. 앞서 골딘 교수는 지난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이후 하버드대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의 저출생 문제를 정확히 짚으며 제언하기도 했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국가간 부의 차이 연구' 美학자들 노벨경제학상…역대 수상자는 2024-10-14 19:21:55
경제학상 여성 수상자는 지난해 수상한 클로디아 골딘 미국 하버드대 교수까지 총 3명이다. 최초의 여성 수상자는 2009년 수상한 엘리너 오스트롬이었으며, 최연소 수상자인 뒤플로는 두 번째 여성 수상자이기도 하다. 수상자의 국적은 미국이 60여명으로 압도적으로 많으며, 영국, 노르웨이, 프랑스 등이 그 뒤를 잇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