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개통 한 달 맞은 대경선, 이용객 87만명 2025-01-15 09:36:35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상시 협의할 예정이다. 허준석 대구광역시 교통국장은 “개통 1개월을 안전하게 맞이할 수 있었던 것은 시도민들의 관심과 사랑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앞으로 대경선이 대구와 경북을 하나로 이어 주는 매개체가 되어 시도민들의 광역생활권을 더욱 확대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경묵...
대구시, 2024년 빛낸 대구시정 10대 정책 선정 2025-01-09 14:24:34
지역 환승에서 청도·고령·성주·칠곡·김천·구미까지 9개 지역으로 대폭 확대돼, 대구를 중심으로 한 대구·경북 광역 교통생활권 형성의 시작을 알렸다. 국내 유일의 민(民)과 관(官)이 협력해 10년에 걸쳐 이룬 노력의 결실인 ‘대구간송미술관(2024.9.2.개관)’은 훈민정음 해례본, 신윤복의 미인도 등 국보·보물...
비수도권 첫 광역전철…'대경선' 14일 달린다 2024-12-11 17:49:21
“구미, 칠곡 등으로 여행도 자주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경선 개통에 맞춰 대구시와 경상북도는 대구시 등 9개 시군의 환승도 동시에 시행한다. 352만 명의 공동생활권 시대가 열리는 셈이다. 기존에는 대구·영천·경산 등 3개 지방자치단체 간 무료 환승이 가능했으나 이날부터 김천·구미·청도·고령·성주·칠곡...
광역철도 개통, 경북·대구 공동생활권 시대 열린다 2024-12-09 17:20:21
생활권 시대가 열린다. 대경선은 8개 역(구미, 사곡, 북삼(2025년 말), 왜관, 서대구, 대구, 동대구, 경산) 61.85km로 광역 간 안정적인 통학·통근을 지원하기 위한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철도다. 철도 운행은 출·퇴근 시간 19분, 그 외 25분 간격으로 오전 5시부터 자정까지 편도 48∼52회(양방100회) 운행하며, 차량은...
"GTX 안 부럽다"…2.5조 들인 철도망 개통에 들썩 [집코노미-집집폭폭] 2024-11-08 06:51:08
역은 기존 역사를 개량했다. 대구를 중심으로 구미, 경산 등 인근 도시까지 하나의 생활권이 된다. 지난달에는 원대역 추가 신설 사업이 확정됐다. 서대구역과 대구역 사이에 들어선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달성공원역으로 환승도 가능해진다. 대구 서구 원대동, 태평로 일대는 2022년부터 새 아파트 공급이 대거 이뤄지며...
대구권 광역철도 원대역 신설 확정 2024-10-15 16:23:45
예정이다. 원대역이 신설되면 구미, 칠곡, 경산지역 출퇴근 직장인들의 교통수요가 획기적으로 좋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철도 3호선 달성공원역과 환승으로 대구권 광역철도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올해 12월 14일 개통되는 대구권 광역철도는 비수도권 최초 광역철도사업으로 구미~대구~경산을...
12월 대구권 광역철도 개통으로 대구역 상권 주목...'대구역자이 더 스타' 상업시설 분양 2024-10-04 09:00:00
환승체계 구축으로 대구·경북 대중교통이 공동 생활권으로 묶이게 된다. 대구와 구미, 칠곡, 김천, 영천, 청도, 고령, 성주를 오가는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대구권 광역철도는 최대 2번까지 무료로 갈아탈 수 있다. 올 연말 시행되는 대구 교통망 변화의 최대 수혜지로 ‘대구역 역세권’이 주목받고 있다. 대구광역철도...
GTX 타고 집값 뛴다더니…수도권도 아닌데 들썩 거리는 동네 [집코노미-집집폭폭] 2024-09-13 06:54:54
환승이 가능하다. 대구권 광역철도 개통에 맞춰 구미와 김천에서도 무료 환승을 할 수 있게 된다. 노선이 통과하지 않는 청도, 고령, 성주, 칠곡 등도 참여할 예정이다. 대구와 경북 간 공동 생활권을 형성하기 위해서다. 지하철 이용 후 버스를 통해 목적지 바로 앞까지 이동하는 게 가능해질 전망이다. 경북도에서는 ‘대...
구미시, 밀·콩 2모작, 6차 융복합 등 농업 대전환 2024-07-14 17:21:00
누구나 살고 싶은 지역 행복 생활권 구현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인한 농촌 소멸에 대응하는 종합발전계획 수립으로 농촌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2028년까지 사업비 총 450억 원을 투입하는 농촌 협약 사업도 추진한다. 올해 선산?산동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에 31억 원, 무을?장천 기초생활거점 육성 사업에 6억 2000만...
尹 "포항-울진 8천억 수소 산업벨트·경주 3천억 SMR 산단 조성" 2024-06-20 14:42:08
"경북과 전국을 2시간 생활권으로 연결할 것"이라고 했다. 또 "호미곶에 1,300억 원을 투입해 국가 해양생태공원을 조성하고, 영덕·울진 비롯한 경북 동해안 지역에 호텔과 리조트 건설하는 동해안 휴양벨트 사업도 적극 지원하겠다"며 "경북 동해안 지역을 대한민국 대표 휴양 관광지로 발전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