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천자칼럼] '북한 형제국' 시리아와 수교 2025-02-12 17:26:06
전 세계에 알렸다. 1946년 프랑스 식민 통치에서 벗어난 시리아는 북한과 같은 독재국가였다. 1970년 군부 쿠데타로 집권한 하피즈 알아사드에서 안과의사였던 그의 둘째 아들 바샤르 알아사드로 세습된 철권통치가 53년간 이어졌다. 아들 알아사드는 ‘아랍의 봄’ 여파로 2011년 일어난 민주화 시위를 탱크와 장갑차로...
미얀마 군정, 비상사태 또 연장…"공정한 선거 위해 안정 필요" 2025-01-31 17:02:03
안정과 평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군부는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의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이 압승을 거둔 2020년 11월 총선을 부정선거라고 주장하며 이듬해 2월 1일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후 군부는 국가비상사태를 연장하며 장기 통치를 정당화하고 있다. 미얀마 헌법에 따르면 비상사태는 기본적으로 1년간 유지되며,...
말리·니제르 등 사헬 쿠데타 3국, 서아프리카공동체 공식 탈퇴 2025-01-29 17:32:07
쿠데타 군부가 집권한 서아프리카 3개국이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를 공식 탈퇴했다고 AP·dpa통신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ECOWAS는 이날 성명에서 "1년 전 처음 발표된 이들의 탈퇴가 오늘부터 효력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회원국들에 역내 자유로운 이동을 포함한 회원국 특권을 이들 3개국에 계속...
사헬 쿠데타 3국, 이슬람 무장단체 대응 연합군 창설 2025-01-22 22:24:31
통치를 했던 프랑스 대신 러시아와 밀착하면서 2023년 9월 상호방위조약인 사헬국가동맹(ASS)을 체결했다. 지난해 1월 29일에는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 공동 탈퇴를 선언한 데 이어 같은 해 7월 6일 니제르 니아메에서 첫 정상회의를 열고 '사헬국가연합' 창설에 합의했다. 그러나 군부 집권 이후 이들...
수단, '미, 군부 지도자 제재'에 "비도덕적" 반발 2025-01-17 17:53:44
수단, '미, 군부 지도자 제재'에 "비도덕적" 반발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유현민 특파원 = 북아프리카 수단이 군부 최고지도자 압델 파타 부르한 장군에 대한 미국의 제재에 "비도덕적"이라며 반발했다. 수단 외무부는 16일(현지시간) 성명에서 "미국의 제재는 정의와 투명성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토대가...
기니 야당 지도자, 군정 수장 모욕 혐의로 징역형 2025-01-08 19:44:38
군부 쿠데타로 쫓겨나고 당시 대령이던 둠부야가 이끄는 군정이 들어섰다. 당시에는 대다수 국민은 물론 야권도 2010년 최초의 민선 대통령으로 선출된 콩데 대통령의 장기 집권에 반발해 쿠데타를 인정하는 분위기였으나 군정이 2022년 5월 모든 시위를 3년간 금지하고 민정 이양을 지연하면서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애초...
“다시 맞는 을사, 새로운 60년”…2025년을 맞으며 2025-01-01 06:11:31
60년의 암흑기를 보냈다. 식민통치, 동족상잔의 전쟁, 군부독재 등 온갖 수난을 겪었다. 이어진 후반기 60년은 빛나는 한국의 시간이었다. 경제는 성장했고, 정치는 민주화됐고, 문화는 세계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다. 120년이 그렇게 흘렀다. 이제 새로운 60년이 시작된다. 시야는 뿌옇다. 정치, 경제, 사회, 외교, 국방...
아사드, 참모진에 '연설 준비' 연막 피우고 홀로 야반도주 2024-12-22 18:09:44
자기 사람을 전부 희생시킨 것인가?" 시리아를 24년간 통치하다 이달 초 야반도주한 독재자 바샤르 알아사드의 옛 수하는 그가 연막작전으로 자신들을 속이고 홀로 달아나는 '배신'을 했다는 게 여전히 믿기지 않는다고 털어놨다. 21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복수의 기밀 보고서를 입수해 보도한 ...
[시론] 역사는 반복되는가 2024-12-22 17:38:44
대통령은 군부를 앞세워 친위 쿠데타를 일으켰다. 헌법을 정지하고 의회를 해산했다. 거대 야당에 의한 정부 견제 구도를 타파하기 위해서였다. 그 후 8년간 통치했으나 정적 탄압과 부패 등으로 몰락했다. 그로부터 30년이 지난 2022년 12월 7일 페드로 카스티요 페루 대통령은 의회의 탄핵 시도에 맞서 친위 쿠데타를...
서아프리카공동체, '사헬 쿠데타 3국' 탈퇴유예 6개월 연장 2024-12-16 19:58:10
등 쿠데타 군부가 집권한 3개국의 탈퇴 유예기간을 6개월 연장하기로 했다. 16일(현지시간) ECOWAS 등에 따르면 전날 나이지리아 수도 아부자에서 열린 제66차 정상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이 채택됐다. 이에 따라 내년 1월 29일까지였던 이들 3개국의 탈퇴 유예기간이 7월 29일까지로 늘어났다. 이번 결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