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다시 기어오르는 '인플레이션'…해결방안은?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5-02-17 08:57:04
과연 인플레를 잡을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성급한 금리인상은 성장이론에서 실제성장률과 균형성장률, 잠재성장률이 같은 황금률(golden rule)이 유지돼야 지속 성장이 가능하다고 본 ‘해로드-도마의 칼날 이론’에 비유된다. 칼날 위를 타는 무속인이 떨어지면 상처가 깊게 난다. Fed가 앞으로 금리인상 국면으로...
최근에 고개 드는 7대 메가 트렌드! 돈 벌 곳이 바뀐다! 이런 곳으로 포트 조정해라!!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2025-02-17 07:31:17
- 금리인하, 올해 4번 → 2번 이내로 대폭 축소 - 美 국채와 엔화로 美 국채 투자, 손실 더 커져 - 3월 점도표 중립금리 4%대, 美 국채투자 낭패 - 과도하게 비중 높은 美 국채, 이미 낮춰 났어야 Q. 마지막으로 말씀 드리긴 합니다만 올들어 세계 금괴가 런던에서 뉴욕으로 이동되는 움직임이 가장 뚜렷하지 않습니까? -...
현대경제硏 "금리 인하로 환율 안정시키는 사고 전환 필요" 2025-02-16 11:00:02
연구원은 "최근 원화 약세의 주된 원인이 한미 금리 역전이 아니라 한미 성장률 역전 때문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리 인하를 통해 펀더멘털을 강화하고 성장률을 높여 환율을 안정시키는 방향의 사고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hanj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코스피, 기관 매수에 상승…장중 2600선 터치 2025-02-14 15:42:13
10년물 금리가 하락한 영향이다. 이에 더해 밸류에이션 수준이 저렴하다는 평가가 나온 휴젤은 11.2% 급등했다. 금리 하락세 성장주 성격이 짙은 레인보우로보틱스도 5.93%나 올랐다. 반면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는 각각 2.36%와 1.94% 하락했다. 리노공업도 2.39% 빠졌다.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전세 감소, 월세 증가···주택 임대시장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한경부동산밸류업센터] 2025-02-13 14:25:01
역전되었습니다. 이러한 월세 증가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임대차 2법 시행으로 인한 전세 가격 상승 2020년 8월 ‘계약갱신청구권’ 도입 이후 전세 매물이 감소하면서 전셋값이 급등하였고, 여기에 금리 인상이 겹치면서 보증금 마련이 어려워진 임차인들이 증가했습니다. 동시에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하려는...
아파트도 월세가 대세…마포·강북 '전월세 역전' 2025-02-04 17:22:52
역전 현상이 발생했다. 고금리 여파로 ‘전세살이’ 비용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 상승으로 아파트 보증금 미반환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세입자들이 월세를 선호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4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정치 불확실성에 환율 1천500원대 우려…성장률 1.3% 가능성도" 2025-02-04 12:00:46
금리역전 지속과 트럼프의 관세인상 예고로 연중 달러화 강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를 올해 환율의 주요 변수로 꼽았다. 보고서는 "미국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자국 물가를 자극해 금리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이 경우 한미 금리 역전 폭이 더욱 확대돼 원/달러 환율은...
인뱅마저 '年3% 벽' 깨져…주식·코인 '머니무브' 가속 2025-02-03 18:09:47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권 예금금리가 당분간 크게 반등하기 힘든 상황에서 갈 곳을 잃은 자금이 더 좋은 투자처를 찾아나서는 분위기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예금에 가입하더라도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확대되는 만큼 단기예금이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박재원/정의진 기자 wonderful@hankyung.com
[커버스토리] 물가·환율·금리 관계 알면, 세계 경제 손에 잡혀요 2025-02-03 10:01:01
사태가 터지면서 미국은 2020년 3월부터 2년간 기준금리를 연 0.25%까지 낮췄고, 우리는 그보다 높은 연 0.5~1.25% 수준이었습니다. 이게 2022년 8월부터 역전됩니다. 미국의 경제활동이 왕성해지고 물가가 덩달아 뛰어오름에 따라 기준금리를 높여 경제가 과열되지 않게 한 영향이죠. 지난해 중반엔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마켓칼럼] "딥시크 충격에도 美 증시 상승…네이버에도 기회" 2025-02-03 09:54:39
기업의 이익 환경이 개선된다면 작년의 과도한 하락을 역전시키며 예상외의 반전을 기대할 수 있다. 많은 경우 전년도의 큰 폭 하락은 이듬해 상승 폭을 더 키울 수 있다. 글로벌 기준으로 24년에는 데이터 센터나 공장 건설 등 B2B(기업 간 거래) 사이클은 양호했지만, PC, 스마트폰, 자동차 등 세트 및 내구소비재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