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피앤에스미캐닉스 "어깨 재활로봇 출격…북미 영업도 강화" 2025-02-16 17:10:35
전망이다. 피앤에스미캐닉스는 러시아 수출 비중이 25%로 우크라이나 중국 태국 베트남 루마니아 등 15곳에 해외 판매 거점을 두고 있다. 북미 바이어를 초청해 장비 시연을 하는 등 북미 시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박 대표는 “해외에서 워크봇을 찾는 것은 기술력 때문”이라며 “국내외 42개 특허를 출원 및 등록했고...
'인텔 구하기'에 TSMC 끌어들인 트럼프…美 공장짓는 삼성도 가시권 2025-02-16 14:32:00
구하기'에 나선다면 출자·공장 인수보다는 기술 협력 형태로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이와 별개로 TSMC의 주요 고객사인 빅테크 기업들이 미국에 있고, 대만의 수출에서 미국 비중이 큰 만큼 트럼프 행정부의 자국 우선주의 방향에 TSMC가 상당 부분 동참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만은 인공지능(AI) 붐에...
트럼프 공세에…대만 측 "반도체 기술 독점할 필요 없어" 2025-02-16 10:40:52
압박을 강화하자 대만 고위 당국자는 "반도체 기술을 독점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대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우청원 주임위원은 15일(현지시간) 페이스북에 "대만은 민주주의 반도체 공급망의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라고 밝혔다. 이어 반도체 산업의 복잡성과 정교한 분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본과 네덜란...
트럼프 반도체 공세에…대만 측 "한 국가가 기술 독점할 필요없어" 2025-02-16 10:10:03
국가가 모든 기술을 완전히 장악하거나 독점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이어 "일본은 반도체 화학제품·재료·설비 측면에서 중요하고 네덜란드는 첨단 포토리소그래피 장비 기술을 지배하고 있다"면서 "미국과 한국은 메모리칩에서 상대적 우위가 있다"고 평가했다. 또 대만은 첨단 패키징 분야 등에서 앞서 있다는 것이다....
①北 ②조선·반도체·LNG ③신기술…트럼프의 첫 '키워드' [한미 외교장관 회담] 2025-02-16 09:20:12
환영하면서 특히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확대를 특정해서 거론했다. 국무부는 또 "두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아젠다에 따라 핵심 및 신흥 기술에 대한 긴밀한 연계와 공동사업 구상 등 경제 협력을 지속해서 추진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고 소개했다. 이날 미국 측 보도자료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전 세계...
트럼프 꽂힌 '알래스카 가스' 줄선 日…한국도 참여 '저울질' 2025-02-16 07:03:00
북극해라는 사업지 특성상 한국이 세계적 기술을 보유한 쇄빙 LNG선 투입 가능성도 높아 사업이 가시화한다면 한국 기업들에 큰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기대도 적지 않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알래스카 가스전 개발이 이뤄지려면 수요처가 있어야 하는데 일본만으로는 한참 부족해 미국 입장에서는 한국의 참여도 꼭 필요...
대기업 나와 6000만원 투자…'177억 부자' 된 '로봇 할아버지' [윤현주의 主食이 주식] 2025-02-16 06:50:05
대표는 기술에 진심이다. 그는 “우린 재활로봇과 관련된 설계 및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술력을 갖고 있으며 인체 관절을 잘 이해하는 의료 로봇 기업이다”며 “족관절 제어의 Ankle Joint Drive 특허 기술은 글로벌 경쟁력의 원천이며 국내 재활로봇 업계 유일 유럽 CE MDR 인증을 갖고 있다”고 자랑했다. 이 때문에...
"거인 어깨에 올라타자"…글로벌 빅테크와 손잡는 韓 테크기업 2025-02-16 06:00:03
기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도 "과거 한국 기업이 독자적인 거대언어모델(LLM) 개발을 위해 애썼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안정적인 수준에 이른 글로벌 모델에 국내 법규를 학습해 외부 리스크를 줄이는 쪽으로 노선을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국가 전체적으로는 서비스 고도화로...
美국무장관 "韓최상목 대행 신뢰"…트럼프 2기 첫 공식 표명(종합) 2025-02-16 00:06:22
환영하면서 특히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확대를 특정해서 거론했다. 국무부는 또 "두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어젠다에 따라 핵심 및 신흥 기술에 대한 긴밀한 연계와 공동 사업 구상 등 경제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고 소개했다. 한편 이날 미국 측 보도자료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한국 경제의 나아갈 길, 수출 다각화에 있다[이정희의 경제 돋보기] 2025-02-15 16:05:54
성장 추세에 있는 K뷰티, K푸드 등의 대미수출 감소를 막아야 한다. 이들 업종에는 중소 및 중견기업들이 많아서 수출의 내수 파급효과가 보다 클 수 있다. 또 중소 및 중견기업의 수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기술개발과 이를 위한 인재양성을 정부가 적극 지원하고, K브랜드 마케팅을 더욱 강화하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