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유럽 반도체연구소 회장 "이재용 만날 예정…삼성과 협업 깊어"(종합) 2025-02-18 15:19:36
블록), 차세대 소자, C-FET 등 5∼10년 후 상용화가 예상되는 기술에서 협업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는 메모리 포션(비중)을 로직 칩 내에 늘리는 방향이나 메모리가 프로세서에 더 가깝게 만드는 식으로 발전할 것"이라며 "아이멕은 이와 관련해 새로운 메모리 기술을 지속 연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이멕은...
2월 과기인상에 이건재 교수…피부밀착 마이크로LED 마스크 개발 2025-02-05 12:00:06
나노미터(㎚, 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 파장 빛을 균일하게 전달하는 마이크로 LED 수천개를 활용하고 여기에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제를 적용해 기존 제품 대비 피부미용 효과를 3배 높였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관련 연구는 지난 2022년 11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헬스케어 머터리얼즈'와 2023년 11월...
디스플레이산업협회,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지원 정책에 '환영' 2025-02-04 11:44:56
것"이라고 기대했다. 마이크로, 퀀텀닷, 나노LED 등을 통칭하는 무기발광 디스플레이(iLED)는 발광다이오드(LED) 등 무기물 소자를 RGB(레드그린블루) 화소로 이용하는 디스플레이로, 수명이 길고 휘도와 소비전력 등에서 장점이 많아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는다. 시장 조사 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삼성의 ‘반도체 트릴레마’… 사상 초유 위기, 해법은?[퇴색하는 K반도체 신화①] 2025-02-03 07:24:53
7나노 반도체를 개발하는 이른바 ‘식칼 신공’ 전략을 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식의 반도체 굴기가 지속되고 기술이 쌓이면 차세대 반도체 기술인 ‘3D D램’ 시대가 도래했을 때 EUV 장비 없이 공정기술을 끌어올린 기업들이 유리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3D D램은 2D D램 칩을 수직으로...
KIST "늘려도 일그러짐 없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판 개발" 2025-01-23 12:00:38
'전단 압연' 공정을 적용해 나노 구조가 두꺼운 기판에서도 투명도를 줄이지 않도록 했다. 이렇게 만든 기판을 실제 소자에 적용해 픽셀(화소)의 배열 변화를 관찰한 결과 기존 기판들에서 발생하는 픽셀 간 간격이 들쭉날쭉하거나 세로 픽셀이 붙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새롭게...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본부 스타트업 CEO] 고기능성 나노전달체와 시스템 탑재 솔루션 플랫폼을 개발하는 ‘나노비크’ 2025-01-20 00:15:07
나노비크는 고기능성 나노전달체와 이를 안정화할 수 있는 시스템 탑재 솔루션 플랫폼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최성학 대표(37)가 2024년 8월에 설립했다. 최 대표는 미세유체소자와 나노·마이크로 전달체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연구교수 및 연구소장으로 재직하며 연구 과정에서 포착한 나노전달체의...
1년도 안됐는데…'주가 4만원→1만원' 날벼락 맞은 큐알티 [윤현주의 主食이 주식] 2025-01-18 07:00:01
1나노미터 이하까지도 관찰할 수 있는 현존하는 분석 장비 중 가장 미세한 영역을 분석할 수 있다고 한다. 반도체 공정이 초미세화, 고정밀화됨에 따라 원자 레벨까지의 관찰도 요구돼 TEM 분석 비중은 점점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이러한 종합분석은 반도체뿐만 아니라 적층세라믹콘덴서(MLCC)와 같은 개별 소자나...
아주대학교, 오일권 교수팀 '새로운 금속물질 세계 최초로 개발' 2025-01-03 15:17:49
호환성이 월등한 새로운 비정질 준금속 나노 극 초박막 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나노 극 초박막 물질은 기존에 알려진 금속과는 완전히 다른 성질을 가진 것으로 그동안 이론 연구로만 존재했던 미지의 물질에 대해 처음 실험적으로 입증해 낸 것으로, 앞으로 차세대 반도체의 원천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아주대 "신금속물질 세계 최초 개발…미래 반도체 기술 돌파구" 2025-01-03 04:00:02
갖는 '비정질 준금속 나노박막' 실험적 입증 (서울=연합뉴스) 최현석 기자 = 국내 연구진이 금속과는 완전히 다른 성질을 가진 새로운 비정질 준금속 나노 극초박막 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해 차세대 반도체의 원천기술로 활용될지 주목된다. 아주대는 3일 오일권 교수(지능형반도체공학과·전자공학과) 국제 공동...
[2025전망] '민간주도' 누리호 4차 발사…'뉴 스페이스' 신호탄 쏜다 2024-12-27 07:11:11
테스터 등 국산 소자 및 부품을 검증하기 위한 항우연의 검증 위성도 부탑재위성으로 실린다. 민간 발사체 기업들도 내년 상업 발사 원년 선언을 위한 일정을 내놓으며 고객 모집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난해 3월 민간기업으로는 국내 처음 시험발사체 발사에 성공한 이노스페이스는 내년 7월 브라질 알칸타라 우주센터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