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팩트체크] 연이은 사고…여객기 타도 정말 안전할까? 2025-02-03 07:20:00
나리타 노선(541만여석) 순이었다. 2024년 가장 붐빈 국내선은 1천418만여석을 기록한 제주-김포 노선이었다. 항공 안전성 평가 사이트인 에어라인레이팅스닷컴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대형항공사(FSC)와 저비용항공사(LCC)를 선정했는데 에어뉴질랜드가 콴타스항공을 제치고 1위였다. 이어 캐세이퍼시픽, 카타르항공,...
에어프레미아, 인천∼홍콩 주 4회 운항…정기노선 7개로 2025-01-24 16:20:49
오전 8시 20분(이하 현지시간)에 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해 오전 11시 15분 홍콩국제공항에 도착한다. 돌아오는 항공편은 낮 12시 45분에 출발해 인천에 오후 5시 15분에 내린다. 이날 첫 운항편의 탑승률은 97.5%를 기록했다. 이번 홍콩 노선 취항으로 에어프레미아 노선은 7개로 늘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LA)와 뉴욕,...
"인천공항 따라잡자"…日나리타공항, 이착륙 횟수 15년만에 확대 2025-01-11 10:42:22
공항 중 하나인 지바현 나리타공항의 연간 이착륙 상한 횟수를 기존 30만 회에서 34만 회로 확대한다는 방침을 정했다고 아사히신문이 11일 보도했다. 국토교통성은 이달 하순 나리타공항 주변 지자체 등과 협의에서 이 같은 방침을 제안하고, 올해 10월 적용을 추진할 계획이다. 나리타공항 이착륙 상한 횟수는 2010년...
대한항공 등 국적항공사 7곳, 지속가능항공유 넣은 항공기 띄워 2025-01-09 13:13:50
노선에서, 에어프레미아는 지난 3일부터 인천∼나리타 노선에서 SAF 혼합유를 쓰고 있다. 에어부산의 경우 올해 1분기 내 일본 노선에서 SAF 상용 운항을 준비 중이며, 화물 전용 항공사 에어인천도 추후 SAF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국내 항공사는 모두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등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인증을...
야심차게 노선 확대했는데…진에어, 무안공항 폐쇄에 '발 동동' 2025-01-09 09:23:01
등 공항 시설 정비를 마치고 재개장하려면 최소 수 개월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앞서 진에어는 지난달 2일부터 무안~오사카 노선을 시작으로 나리타, 타이베이 국제선과 제주 국내선 등 총 4개 노선의 매일 운항을 시작했다. 하지만 운항을 시작한 지 채 한 달도 되지 않아 제주항공 사고가 발생해 무안발 노선...
에어프레미아, 지속가능항공유 도입… 인천-나리타 노선에 사용 시작 2025-01-09 09:07:40
일본 나리타 공항으로 운항하는 금요일편(YP731)에 SAF를 혼합해 운항을 시작했다. 이번 SAF 도입은 지난해 8월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2027년부터 국내에서 출발하는 국제선 모든 항공편에 SAF 1% 혼합 사용 의무화를 추진하면서 이에 따른 조치로 진행됐다. 에어프레미아는 향후 1년동안 매주 금요일 나리타행...
제주항공, 1천878편 감축..."비운항 환불 조치" 2025-01-08 16:16:23
노선에서는 인천∼나리타·오사카·후쿠오카·삿포로, 부산∼나리타 등 노선에서 344편을 감축한다. 동남아 노선은 인천∼다낭, 방콕, 보홀 등 노선 326편이다. 대양주는 인천∼괌, 부산∼사이판 등 노선에서 136편을, 중화권은 인천·제주∼홍콩, 부산∼가오슝 등 노선에서 234편을 감편한다. 공항 별로 인천발 390편,...
제주항공, 1∼3월 총 1천878편 감편…국내 838편·국제 1천40편 2025-01-08 14:51:17
1천40편을 감편한다. 일본 노선에서는 인천∼나리타·오사카·후쿠오카·삿포로, 부산∼나리타 등 노선에서 344편을, 동남아 노선은 인천∼다낭, 방콕, 보홀 등 노선에서 326편을 감축한다. 대양주 노선은 인천∼괌, 부산∼사이판 등 노선에서 136편을, 중화권 노선은 인천·제주∼홍콩, 부산∼가오슝 등 노선에서 234편을...
국내 정유사 최초 SAF…SK에너지, 유럽에 직수출 2025-01-05 16:48:52
수출했다. GS칼텍스는 일본 이토추상사를 통해 도쿄 나리타 공항에 SAF를 납품하고 있다. 에쓰오일도 지난해 대한항공에 SAF를 공급했다. 하지만 현재 생산 방식으로는 글로벌 수요를 따라가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 정유업체가 적용한 코프로세싱 설비는 SAF 전용 생산설비에 비해 수율이 낮아서다. 폐식용유 100L...
"ANA, 2027년 '하늘 나는 자동차' 운항…20분내 도쿄→나리타" 2024-12-31 20:00:05
하네다공항에서 나리타공항 간 택시 요금은 현재 대략 2만엔대 중반이며, 소요 시간은 1시간 남짓이다. ANA 홀딩스는 우선 도쿄 도심을 돌아보는 여행 상품을 선보인 뒤 수도권을 중심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도쿄 도심과 나리타공항 구간 외에 하네다공항과 나리타공항, 도쿄 도심과 요코하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