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돈 받고 '대포통장' 찍어낸 이곳…충격의 실체 2025-01-23 11:25:46
유통조직과 공모해 4년간 유령법인 명의 대포통장을 불법 도박사이트 등에 유통한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로 대구 달서구 소재 새마을금고 A(51) 전무와 B(46) 상무 등 임직원 3명을 구속기소 했다. 이들과 공모한 대포통장 유통총책 C(46)씨 등 2명도 같은 혐의로 구속기소 했다. 대포통장 유포사범 D(50)씨...
필리핀 도피 한국인 수배자 2명, 현지서 검거돼 송환 예정 2025-01-14 12:56:23
해외에서 2조원 규모의 불법 도박사이트를 운영하고 범죄수익금으로 부가티 등 고급 스포츠카와 시계를 구입하는 등 호화 생활을 한 총책 C씨(36)가 검찰과 필리핀 국가수사청(NBI)의 공조로 세부에서 검거돼 송환됐다. 지난해 9월엔 보이스피싱 사건으로 재판받다가 2016년 필리핀으로 도주한 뒤 현지인과 결혼해 가정까지...
당정, 소상공인 정책융자 600억 증액…민생경제 예산 조기 집행 2024-12-20 11:02:24
'특별방범 기간'을 운영하는 등 범죄예방 활동을 강화하고, 겨울철 재해재난으로 인한 대형 사고 예방을 위해 상습결빙구간에서 예방 순찰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당정은 서민경제 침해 사범 근절에도 뜻을 모았다. 정부는 불법 사금융, 투자 리딩방 사기, 사이버 도박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단속하고, 불법...
과학수사·치안 인프라 10년간 800억…경찰, ODA에 공들이는 이유 2024-09-02 14:30:26
많아 해외 협력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는 추세다. 실제로 해외 도피사범의 송환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2021년 해외 도피사범 송환 비율은 39.1%(953명 중 373명)였지만 지난해에는 91.8%(512명 중 470명)까지 올랐다. 올 7월까지의 송환 숫자도 이미 250명을 넘겨 역대 최대 송환 인원수를 경신할 전망이다. 지난 7월...
"지게꾼 뛰면 3천만원 고수익"…겁없이 '마약 밀수' 손댄 20대 2024-06-25 18:08:16
SNS를 통한 구인·구직이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공급 사범이 매년 급증하고 있다. 25일 대검찰청에 따르면 밀조·밀수·밀매를 포함한 공급 사범은 지난 1~4월 2581명으로 전년보다 50.3% 증가했다. 지난해 4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산하 마약범죄특별수사팀이 검거한 대마 재배 일당도 노동시장 밖의 20대였다. 무직 상태였...
마약사범 절반 2년 이상 징역 2024-06-25 18:02:53
5년간 마약류 사범 판결문 중 피고인의 전과 횟수 추출이 가능한 4772건을 조사한 결과 마약·향정 사범이 재범일 때 징역형 선고율은 초범보다 약 3.6배 높았다. 집행유예형 비율이 비교적 높은 대마 사범은 이 수치가 5.8배에 달했다.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정책자문위원을 맡고 있는 박진실 변호사는 “‘한탕주의’에...
"복도서 비틀대던 학생 마약 취해…" 현직 교사 증언 '충격' 2024-06-13 21:35:46
전년도보다 50.1% 늘었다. 이들 중 청소년 마약 사범은 5년 전인 2019년 239명에서 지난해엔 1477명으로 6배 넘게 늘었다. 아울러 A씨는 "요즘 청소년들 사이에서 또 문제인 게 불법 도박인데, 제자 말에 따르면 텔레그램에 불법 도박방이 많아 여기에 들어가 있으면 마약을 권유하는 메시지가 많이 온다고 한다"면서 불법...
"친구 소개로 했어요"…9세 초등생도 사이버 도박 '베팅' 2024-04-25 09:58:07
사이버도박 특별단속으로 붙잡힌 도박사범 중 3명 중 1명은 10대인 것으로 드러났다. 9살 초등학생도 사이버도박 사이트를 이용해 검거됐다. 이들은 '친구 소개'로 사이버도박에 발을 들였다고 밝혔다. 25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국수본)는 작년 9월 25일부터 올해 3월 31일까지 6개월간 '청소년 대상...
[단독] 더 교묘한 'MZ 사기꾼'…도박웹 32개 운영, 유튜버 앞세워 코인사기 2024-04-22 18:31:31
폭력 사범이 1062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사행성 영업(585명), 갈취(286명), 불법 사채(98명) 등 금융 사기범죄와 연루된 사례도 적지 않았다.숏폼·페북·유튜브 활용한 사기 기승MZ세대의 사기범죄 급증에는 진화한 정보기술(IT)과 플랫폼의 등장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SNS, ‘숏폼’(짧은 영상)을 통해 범죄 수법을...
작년 가상자산 의심거래 보고 49% 증가…"범죄정보 분석강화" 2024-02-14 12:00:09
이용한 불법 외화 유출 사범, 가상자산을 악용하여 마약을 유통한 혐의자 등을 적발해 법집행기관에 통보했다. 작년 말부터 올해 초까지는 불법 사금융 의심거래에 대한 전략적 심사 분석을 통해 국세청·경찰청에 불법사금융 의심 사례 100여건을 통보했다. 등록대부업자의 소득신고 누락, 대부업자의 불법재산 은닉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