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홈플러스 "PB 브랜드 '심플러스' 온라인 매출 40% 증가" 2025-02-16 11:22:21
최소 24% 이상 늘었다고 홈플러스는 전했다. 심플러스 비식품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96% 증가한 점도 눈에 띈다. 홈플러스는 최근 비식품군을 재단장하고 신규 상품을 대거 출시했다. 청소용품인 제습제와 물걸레·정전기 청소포 매출이 각각 187%, 26% 증가했고 주방용품 종이컵과 위생백·포일은 각각 201%, 72% 늘었다....
기세 꺾인 편의점…외형성장보다 수익·내실 경영체제로 2025-02-16 07:15:01
세븐일레븐과 이마트24는 점포·비용 효율화 영향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했다. 다음 달 말 연간 실적을 공개하는 세븐일레븐은 지난해 1∼3분기 누적 매출이 4조59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 줄어 영업손실이 224억원에서 528억원으로 두배 이상으로 늘었다. 이마트24도 지난해 매출(2조1천631억원)이 2.8%...
"테슬라 말고 이 주식 살 걸"…232% 급등 '초대박' 2025-02-14 17:56:59
삼고 있는 전기차 사업이 호조를 보이는 점이 매수세를 자극하고 있다. 레이 회장은 “SU7 울트라는 최고 시속이 350㎞로, 현존하는 4도어 양산차 중 가장 빠르다”고 말했다. 실적도 개선되고 있다. 작년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0.5% 늘어난 925억위안(약 18조4000억원), 영업이익은 4.4% 증가한 63억위안(약...
'한국 가치투자의 간판' 최준철 "버핏처럼 되고 싶어 탐독한 책" [설지연의 독설(讀說)] 2025-02-14 10:16:15
다 있다기보단 동기를 주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고기를 잡으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라고 물었을 때 사람들은 대단한 스킬을 생각하기 마련이지만, 저는 책을 읽으며 씨줄·날줄 그물을 계속 짜는 거란 생각을 해요. 그물이 헐거우면 투자든 조직이든 리더십 관련이든 아이디어를 제대로 캐치 못할 수...
"'불닭' 대박 났다는데 우리는…" 농심 주주들 '눈물' [종목+] 2025-02-13 11:35:41
팔았다는 생각이 든다"고 토로했다. 삼양식품과 농심을 비교하는 투자자도 있었다. 농심과 달리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 신화'에 힘입어 연일 최고가 행진을 달리고 있다. 삼양식품의 시가총액은 6조원을 웃돈다. 농심 작년 4분기 영업익 204억...전년비 47.6% '감소'경쟁사가 앞서가는 사이 농심의 실적은...
"농심, 해외 매출 성장 기대되나 수익성은 미지수…목표가↓"-대신 2025-02-13 07:50:58
소비 둔화가 지속돼 단기적으로 농심의 내수 시장에서의 성장은 제한적이겠지만, 추가적으로 수익성 하락을 감내하며 판촉비를 확대할 가능성도 낮다”고 판단했다. 이미 판촉비 지출로 인한 실적 악화를 겪었기 때문이다. 농심은 작년 4분기 매출 8551억원, 영업이익 204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삼성화재, 순이익 2조 돌파...손보업계 최초 2025-02-12 18:33:44
비 감축과 온라인 채널 경쟁력을 확대한 것이 주요했다"고 말했다. 일반보험은 국내 및 해외 사업의 동반 성장으로 누적 보험수익이 전년대비 10.3% 증가했으며, 누적 보험손익은 고액사고 증가에 따른 손해율 상승으로 전년 동기대비 13.9% 감소한 1,757억 원을 기록했다. 자산운용은 보유이원 제고를 위한 지속적 채권...
연매출 5조 넘긴 CJ ENM "티빙 2년 내 가입자 1500만명 목표" 2025-02-12 16:31:42
동기보다 매출은 41.9%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30.2% 줄었다. 에프앤가이드 추정 매출(1조3017억원)은 크게 웃돌았지만 추정 영업이익(696억원)은 밑돌았다. 눈여겨 볼 부분은 티빙의 실적 개선이다. 티빙의 지난해 매출은 4353억원으로 전년(3264억원) 대비 33.4% 늘었다. 영업손실은 140억원이었다. 티빙의 영업이익률은...
"유한양행, 4분기 영업적자가 매수 기회" 2025-02-12 15:02:59
비용으로 매출은 증가했으나 R&D 비용과 자회사의 실적 악화로 영업적자 전환됨. R&D 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1000억 원 증가함. 그러나 바이오 기업의 R&D 투자 확대는 긍정적으로 평가되며, 이번 하락을 매수 기회로 삼을 수 있음. - 외국인의 매도세가 줄어들고 있으며, 전기전자, 제조, 운송장비를 주로...
"잘 안보인다 했더니"…中, 세계 전기차시장 '접수' 2025-02-12 10:28:55
판매 대수를 보면 BYD가 413만7천대를 판매해 전년과 비교해 43.4% 성장했다. BYD는 중국 시장에서 쑹(宋), 시걸, 친(秦)의 판매량이 호조세고, 중국 외 시장에서는 아토3와 돌핀 등의 판매가 확대되며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늘렸다고 SNE리서치는 설명했다. BYD는 또 덴자(친환경차)와 양왕(럭셔리), 팡청바오(개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