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허셉틴 이후 14년 만에…위암 표적항암제 새 시장 열린다 2025-02-17 17:39:04
지난 13일 이 검사법을 출시한 로슈진단에 동반진단 검사를 해도 문제가 없다고 통보한 뒤에야 출시일이 결정됐다. 치료제 출시가 늦어지자 아스텔라스는 국내 환자에게 약을 미리 공급하는 조기공급프로그램(EAP)을 가동했다. 지난해 7월 이후 10개 의료기관에서 51명이 EAP를 통해 신약을 썼다. ◇보험 혜택 못 받는 건...
엔젠바이오, 베트남 시장 1위로…현지 최대 병원 초레이서 수주 2025-02-17 17:37:49
NGS 진단 검사는 암의 유전자 변이를 가장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이다. 표적항암제나 면역항암제 사용 전 필수로 거쳐야 한다. 이 회사는 베트남 내 주요 병원인 박마이병원, 케이국립암병원, 빈단병원, HCMC종양병원에서도 NGS 진단 제품을 수주했다. 최대출 엔젠바이오 대표는 “NGS 진단 검사가 이뤄지는 베트남...
에스디바이오센서, 인도 신공장 준공…연간 생산능력 2.9배 증가 2025-02-13 14:25:00
진단 시장에서 비즈니스 경쟁력을 한 층 강화할 계획이다. 신공장은 총 5만4116㎡(약 1만6399평)로, 기존 인도 구공장 대비 7배 이상 큰 규모이다. 신공장에서는 최신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전용 브랜드 ‘울트라(ULTRA)’뿐만 아니라, 글로벌 브랜드 ‘스탠다드(STANDARD)’의 신속면역진단,...
날숨만으로 20분 만에 폐암 조기 진단한다 "정확도 95%" 2025-02-11 15:28:23
기존 폐암 진단 정확도는 약 75%로 실제 현장에서 선별검사에 적용할 수준에 이르지는 못했다. 이후 ETRI 연구팀은 해당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더 많은 가스 성분을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멀티모달센서를 사용한 시스템으로 개선한 것이다. 이를 통해 진단 정확도를 비약적으로 향상할 수...
[광운대학교 2024년 예비창업패키지 선정기업 CEO] 사이토카인 폭풍 증상 현장 진단용 앱타머 기반의 바이오센서를 개발하는 ‘와이알테크놀로지’ 2025-02-09 13:38:14
말했다. 주력 제품은 사이토카인 폭풍 증상 현장 진단용 앱타머 기반의 바이오센서다. 사이토카인 폭풍은 감염병이나 면역 과잉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며, 심각한 경우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와이알테크놀로지의 바이오센서는 이 증상의 주요 지표인 IFN-γ와 TNF-α를 빠르고 정확하게 감지한다....
몸살인줄 알았는데 '깜짝'…성현아도 앓는다는 '이 병'[건강!톡] 2025-02-09 11:59:46
몸살이라고 생각했던 통증이 신우신염으로 진단받는 경우가 많다. 신우신염은 신장이나 신우 등 상부 요로계에 감염이 발생한 상태를 의미한다. 건강한 사람은 소변의 흐름이나 구조적 기능으로 신장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지만 구조적 이상, 물리적 폐쇄, 소변 역류 등으로 세균이 신장으로 거슬러 올라가 감염을 일으킬 ...
LG화학, '몸값 5000억' 에스테틱 사업 판다 2025-02-07 17:36:55
조정 차원에서 본격화됐다. LG화학은 2023년 진단사업부를 글랜우드PE에 매각하고, 미국 바이오텍 아베오를 8000억원에 인수하며 항암제 신약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번 에스테틱사업부 매각까지 성사되면 회사의 생명과학 부문은 백신과 신약 개발 등 바이오 사업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선 LG화...
뇌에 쌓이는 미세플라스틱 '충격'…"머리에 숟가락 한 개씩" [1분뉴스] 2025-02-04 17:00:44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치매를 진단을 받은 이들의 미세플라스틱의 분포도 따로 살폈는데, 그 결과 치매 환자의 뇌에서 플라스틱 조각이 건강한 이들보다 3~5배 많다는 점을 발견했다. 조각들은 동맥과 정맥의 벽, 두뇌 면역세포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캠펜 교수는 "미세플라스틱이 치매 때문에 증가했을...
뇌에 쌓이는 미세플라스틱…"숟가락 한개 수준" 2025-02-04 16:17:34
진단을 받은 이들의 두뇌에서는 파편 같은 플라스틱 조각이 건강한 이들보다 3∼5배 많다는 점을 주목했다. 이들 플라스틱 조각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수준보다 작으며 동맥과 정맥의 벽, 두뇌 면역세포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캠펜 교수는 "좀 충격적"이라며 "치매가 혈액뇌장벽(BBB·뇌와 혈액을 격리시키는 혈관...
"뇌에 숟가락 한개씩…" 미세플라스틱 탓 치매 가능성 걱정까지 2025-02-04 16:02:33
진단을 받은 이들의 두뇌에서는 파편 같은 플라스틱 조각이 건강한 이들보다 3∼5배 많다는 점을 주목했다. 이들 플라스틱 조각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수준보다 작으며 동맥과 정맥의 벽, 두뇌 면역세포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캠펜 교수는 "좀 충격적"이라며 "치매가 혈액뇌장벽(BBB·뇌와 혈액을 격리시키는 혈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