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홍영식 칼럼] '북핵 괴물'로 만든 트럼프 1기 되풀이 안 된다 2025-02-17 17:53:00
한·미 방위비 합의도 무용지물로 만들 것이다. 게다가 트럼프는 김정은을 향해 “많은 핵무기를 가지고 있는 누군가와 잘 지내는 것은 좋은 일”이라고 여러 차례 말했다. “미국의 목표는 분쟁 회피”라는 등 참모들 사이에선 북핵 현실을 인정하고 군비 통제 선에서 협상하는 게 현실적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북한...
[사설] 車·반도체까지 확대되는 트럼프 관세…한·미 FTA 무용지물되나 2025-02-11 17:37:46
‘트럼프발 관세폭탄’이 현실화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어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관세 25%를 부과하는 포고문에 서명했다. 한국은 트럼프 1기 때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수출 쿼터 물량(연간 263만t)에 무관세 적용을 받아 온 만큼 이번에도 예외 가능성에 기대를 걸었지만,...
반도체 부활 노리는 日…그 뒤엔 Arm 2025-02-05 17:31:49
Arm의 ‘블루프린트’(설계도) 없이는 무용지물이다. 1978년 창업 이후 3000억 개 이상의 칩이 Arm 기반으로 출하됐다. 설계만 제공할 뿐 자체 칩은 만들지 않는 ‘반도체산업의 영세 중립국’ Arm이 글로벌 AI산업의 판도를 뒤흔드는 게임체인저로 부상하고 있다. Arm 최대주주인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이 Arm의 저전력...
"韓 기업 대미 로비 공동전선 꾸려야"…美 변호사의 조언 2025-01-23 16:41:41
관계를 쌓아도 무용지물이 될 위험이 있다. 그는 “워싱턴을 움직이려면 워싱턴에 있는 거물을 만나는 게 아니고 각 주를 움직여야 한다”면서 “어떤 주의 의원이 힘이 있고, 그 주의 이슈가 무엇인지 파악해서 작더라도 도울 방안을 제시하면 이야기가 풀린다”고 설명했다. 노스다코타나 사우스캐롤라이나, 아칸소...
'한국판 IRA'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 발의…K-배터리 지원 기대 2025-01-23 11:20:30
영업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배터리 업계에는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최근 3년 투자금은 수조 원에 달하지만 실질적인 세액공제 혜택은 부족하다 보니 글로벌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었다. 미국, 캐나다, 프랑스 등은 투자금에 대해 현금 환급이나 제3자 양도 등의 방식으로 업계를 지원해준다...
[기고] 외국인 차별하는 K지하철 2025-01-22 18:06:16
등 글로벌 신용카드가 K지하철 앞에서는 무용지물인 셈이다. 캐시리스 시대의 도래로 미국 유럽 등에서는 신용카드가 교통카드를 대체한 지 오래다. 별도의 현지 교통카드나 승차권, 기능 적용 없이 소지한 신용카드만으로 지하철을 탈 수 있는 오픈 루프 시스템이 구축돼 있기 때문이다. 아시아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나라...
"K구글어스라더니"…公기관도 외면하는 정부 3D맵 2025-01-14 17:37:33
공간정보 시스템이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정밀도가 떨어져 홍수 예측, 자율주행·도심항공교통(UAM) 체계 구축을 위한 물리적 정보를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시스템을 기반으로 국토부 산하 한국국토정보공사(LX)가 지방자치단체에 독점 공급하는 LX플랫폼이 오히려...
'한국판 구글어스'라더니…"도로가 롤러코스터?" 엉터리 비난 2025-01-11 10:07:01
무용지물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정밀도가 떨어져 홍수 예측,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등 물리적 정보를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공간정보를 가장 폭넓게 활용하는 전국의 지자체에 LX의 3D지도가 독점적으로 공급되고 있어 국내 스마트도시 경쟁력이 저하될 것이라는 우려가...
목포 아시아나의 교훈도 무용지물…30년만에 되풀이된 계기착륙시설 참사 2025-01-09 10:34:37
무안 제주항공 참사가 1993년 ‘아시아나 여객기 추락사고’의 원인을 똑같이 반복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66명의 사망자를 낸 해당 사고는 계기착륙시설 미설치와 악천후 등이 겹쳐 발생했던 최악의 참사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사고의 여파로 무안국제공항이 대체공항으로 지어졌음에도 안전 의식의 부재로 31년만에...
19세기 학교서, 20세기 교원이, 21세기 학생 가르치는 나라 2025-01-08 17:35:33
노동은 무용지물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7개국(G7) 중 한국처럼 정부가 표준으로 정한 검정교과서를 초·중·고 교육에 사용하는 나라는 일본뿐이다. 차상균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초대원장은 “AI산업을 이끌 인재를 검정교과서로 키울 수 있겠냐”며 “발상의 전환을 통해 ‘오픈소스’형 교과서를 만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