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딥시크 창업자 배출한 '인재 요람' 항저우…스타트업 '6룡' 주목 2025-02-05 09:24:36
베이징 바깥의 공대 출신이라는 점을 두고 중국이 '반도체 굴기'와 'AI 굴기' 등을 통해 국가 차원에서 과학 인재를 육성해온 것의 성과가 이제야 드러나기 시작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딥시크 돌풍의 주역 대부분이 중국 국내 대학 이공계 출신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러한 분석은 더욱 설득력을 얻는...
[황정수의 재계 인사이드] 종합 반도체 기업 몰락의 교훈 2025-02-04 17:42:54
설계·생산, 파운드리를 다 하는 인텔, 메모리반도체 설계와 생산,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이미지센서 설계, 파운드리까지 가진 삼성전자는 ‘반도체 제국’으로 군림한 과거의 위상을 잃어버렸다. 반도체 기업 매출 세계 1, 2위 자리를 놓고 10년 넘게 각축을 벌인 두 거인의 몰락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과거엔 내부...
[차이나 역습]① AI만 문제 아니다…중국의 '기술침공'은 전방위 2025-02-02 07:00:08
적용 중이다. 반도체와 배터리는 중국 업체들의 저가 물량 공세에 직격탄을 맞은 분야다.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와 푸젠진화(JHICC) 등의 저가 물량 공세에 따른 공급 과잉이 맞물려 삼성전자의 주력인 범용(레거시) 메모리 가격이 가파르게 하락하고 있다. 이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DDR4와 LPDDR4 등 레거시...
美, 中 AI업체·첨단 반도체 추가 규제…中 "괴롭힘 반대"(종합) 2025-01-16 17:38:01
반도체와 관련, 별도의 세계적 통제에 따라 제한을 받고 이를 중국 등에 팔려면 정부 허가를 받도록 하는 내용도 담겼다. 종전 규제가 '7나노 이하'였던 것에 비해 강도가 더 강해진 셈이다. 삼성전자와 인텔, TSMC, 글로벌파운드리, ASE 등 BIS가 승인한 반도체 조립·테스트업체는 24곳으로, 이들 업체는 미국의...
미국, 중국 AI 업체 등 무더기 제재…첨단 반도체 추가 규제 2025-01-16 13:13:34
반도체와 관련, 별도의 세계적 통제에 따라 제한을 받고 이를 중국 등에 팔려면 정부 허가를 받도록 하는 내용도 담겼다. 종전 규제가 '7나노 이하'였던 것에 비해 강도가 더 강해진 셈이다. 삼성전자와 인텔, TSMC, 글로벌파운드리, ASE 등 BIS가 승인한 반도체 조립·테스트업체는 24곳으로, 이들 업체는 미국의...
방산·조선·코인 다 가졌다…한화그룹株 '전성시대' 2025-01-14 17:20:34
최근 급등한 HD현대 계열 종목도 담고 있어 이를 빼면 주가가 ‘마이너스’라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전자(25.25%)와 삼성SDI(9.5%) 등의 비중이 큰 ‘KODEX 삼성그룹’ ETF도 3개월간 8.42% 하락했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기술 경쟁력에 관한 우려와 함께 대중국 반도체 규제, 2차전지 보조금 축소 가능성이 반영된 결과다....
[2025학년도 대입 전략] 연세대 추가합격자 중 16%가 전화통보로 확정, 내달 19일까지 연락…통화 3번 안 되면 불합격 2025-01-06 10:00:11
자연계열에서는 전기전자공학부 9명(전체 모집 인원 대비 13.2%)이 공식 발표 이후 추가로 합격해 자연계열 학과 중 가장 많았다. 교과우수전형 융합에너지공학과는 1명(33.3%), 스마트보안학부 2명(25.0%), 교과우수 데이터과학과 1명(25.0%), 교과우수 기계공학부 3명(20.0%) 등은 공식 발표 이후 추가로 합격했다....
SKY 정시 넣은 최상위권, 이공계보다 의대로 쏠려 2025-01-05 17:42:27
대 1, 삼성전자 계약학과인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가 7.28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 계약학과인 고려대 반도체공학과도 8.20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반면 문·사·철이라 불리는 인문계열 학과들은 경쟁률이 부진했다. 연세대는 문헌정보학과(2.57 대 1), 중어중문학과(2.76 대 1), 철학과(2.88 대 1),...
국내·외취업 전국 1위 영진전문대, 14일까지 정시모집 2025-01-02 08:52:12
띈다. 컴퓨터정보계열 87.6%, AI융합기계계열 80.2%, 반도체전자계열 77.8%, 건축인테리어디자인계열 80.7%를 기록했다. 해외취업은 전국 2년제·4년제 대학을 압도하며 전국 1위에 올랐다. 2022년 졸업자 중 83명이 일본 등의 해외 기업에 취업, 전국 1위에 등극했다. 이를 포함한 최근 6년간(2017~2022년) 일본 576명을...
영진전문대-SM남선알미늄, 주문식교육 및 일학습병행 협약 체결 2024-12-27 12:59:13
밝혔 다. 영진전문대학교 신재생에너지전기계열과 반도체전자계열은 교육부가 주관하는 ‘지방전문대학활성화사업’에 선정돼 지난 2023년부터 2025년까지 2년간 43억의 국고를 지원받아 지자체와 연계한 모빌리티분야인 전동기, 전력변환, 자동화, 전기에너지, 자율주행, 이차전지의 인력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