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단독] 美 통상 보복 우려에도…플랫폼법 강행한다는 공정위·野 2025-02-16 18:28:15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빅테크에 대한 섣부른 규제가 자칫 다른 산업의 ‘통상 보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반면 공정거래위원회는 플랫폼법 처리 의사를 철회하지 않고 있다. 야당도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 처리까지 불사하겠다는 입장이어서 플랫폼법이 정치권발(發) 한·미 통상 리스크로 떠오를...
[시론] K팝과 딥시크의 '닮은꼴 혁신' 2025-02-16 17:50:21
빅테크산업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대중 무역규제로 엔비디아의 고성능 칩을 수입할 수 없는 상황에서 딥시크는 저사양 칩만을 이용해 오픈AI의 챗GPT에 필적할 만한 고성능 AI를 구현할 수 있는 최적화 학습 모델을 개발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딥시크의 성공은 미국의 대중 무역규제 덕분에 가능했다. 만약 고성능 칩을...
[데스크칼럼] 먼저 보는 사람이 임자인 공시 2025-02-16 17:46:17
게 당연시됐다. 금융회사는 개장 전, 빅테크는 폐장과 동시에 실적을 내놓고 가이던스를 제시하는 관행이 있을 뿐이다. 美선 개장 중엔 실적 공시 안해증권거래위원회(SEC)와 뉴욕증권거래소, 나스닥 역시 엄격한 공시 규정을 도입한 건 아니다. 다만 중요 공시는 정규 거래 시간을 피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중대한...
'100대 로봇기업'에 韓기업 4곳 선정…테슬라·애플과 어깨 나란히 2025-02-16 17:44:48
글로벌 빅테크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보고서는 휴머노이드 산업을 △브레인(반도체 개발) △보디(하드웨어 제작) △인테그레이터 3개 부문으로 분류했다. 국내 기업 가운데 브레인 부문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보디 부문에는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이 각각 이름을 올렸다. 네이버는 테슬라, 도요타 등과 함께 로봇...
"아마존, 이탈리아서 부가세 1조8천억원대 탈세 혐의" 2025-02-16 16:49:02
고려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미국 빅테크(거대기술기업) 아마존이 이탈리아에서 거액의 부가세 탈세 혐의에 직면한 것으로 전해졌다. 파이낸셜타임스(FT)·로이터통신은 15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탈리아 당국이 12억 유로(약 1조8천억원) 규모 부가세를 내지 않은 혐의로 아마존을 조사 중이라고 보도했다....
'인텔 구하기'에 TSMC 끌어들인 트럼프…美 공장짓는 삼성도 가시권 2025-02-16 14:32:00
고객사인 빅테크 기업들이 미국에 있고, 대만의 수출에서 미국 비중이 큰 만큼 트럼프 행정부의 자국 우선주의 방향에 TSMC가 상당 부분 동참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만은 인공지능(AI) 붐에 힘입어 지난해 대미 수출이 전년 대비 83% 증가, 역대 최대인 1천114억달러(약 160조8천억원)를 기록했다. TSMC는 최근 이사회를...
네이버, 삼성·현대차·LG와 나란히 글로벌 100대 로봇 기업 2025-02-16 07:01:02
빅테크 '브레인' 분류…삼성, 브레인 기업으로도 평가 (서울=연합뉴스) 김경희 기자 = 네이버가 투자 은행 모건스탠리가 선정한 로봇 분야 100대 핵심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국내 기업 가운데는 삼성, 현대차[005380], LG 등이 같은 카테고리에 포함됐다. 국내 소프트웨어 업체로는 네이버가 유일하게 선정됐다....
[마켓인사이트] 코스피, 트럼프 당선 100일만에 적응완료…상승세 탄력 붙을까 2025-02-16 07:00:03
가능성, 글로벌 빅테크의 주문형 반도체(ASIC) 도입 확산 기대감 등에 힘입어 한 주간 4.28% 반등했다. 지난주(10~14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2천12억원 규모로 5주 연속 순매도세를 기록했다. 개인도 1조4천124억원 규모로 3주 만에 매도 우위로 돌아섰지만, 기관이 1조3천237억원 규모 순매수세로 전환하며 지수를...
대기업 나와 6000만원 투자…'177억 부자' 된 '로봇 할아버지' [윤현주의 主食이 주식] 2025-02-16 06:50:05
커져…“러시아·中 등 해외 판매 강화”시장조사기관 테크나비오에 따르면 글로벌 재활 로봇시장은 2022년 8억4000만달러에서 2027년 27억9300만달러로 연평균 26%씩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박 대표는 “우호적인 시장 환경으로 올해 매출 2배 이상에 도전하겠다”고 말을 꺼냈다. 그는 “해외 매출 비중이 약 80%...
"거인 어깨에 올라타자"…글로벌 빅테크와 손잡는 韓 테크기업 2025-02-16 06:00:03
AI'를 개발하는 것이 최선인 만큼, 글로벌 빅테크와 협업하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하게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배 연구원장은 "빅테크 기업에 기술 주도권을 뺏기면 한국이 AI 기술 경쟁에서 뒤처질 수 있다"며 "글로벌 빅테크에 기술이 종속되지 않도록 자체 기술력을 확보하는 등 한국의 AI 경쟁력을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