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경남~수도권 2시간대…교통망 확충 '속도' 2025-02-13 17:54:00
하반기에는 동대구~창원~가덕도신공항선을 포함한 제5차 국가철도망계획과 사천공항 국제공항 승격을 위한 제7차 공항개발종합 계획 등이 확정될 예정이다. 박성준 도 교통건설국장은 “올해는 경상남도가 그동안 추진해 온 물류·교통인프라 확충 노력이 국가계획에 반영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는 시기”라며 “지역의...
모든 공항에 조류탐지 카메라·레이더…새떼 꼬이는 시설 옮긴다 2025-02-06 10:13:44
등 크게 3가지로 나뉜다. 먼저 공항별로 예방 전담 인원을 늘려 '상시 2인 이상 근무 체계' 확립을 원칙으로 한다. 국토부 점검 결과 무안공항을 비롯해 울산, 양양, 여수, 사천, 포항경주, 원주 등 7개 공항은 야간·주말에 한 명만 근무하는 경우가 있었다. 일요일 오전에 있었던 제주항공 사고 당시에도 현장...
7개 공항서 방위각시설 지적…부러지기 쉬운 구조로 교체 2025-01-22 15:49:27
제주국제공항, 광주공항, 여수공항, 포항경주공항, 사천공항(2개소) 등 총 7개 공항, 9개 시설물로 확인됐다. 국토부는 먼저 이들 공항에 대해서 기초대를 지하화하는 방안과 경량철골 구조로 교체하는 방안을 설계 과정에서 병행 검토해 관련 설치 규정을 준수하면서도 신속하게 추진 가능한 방안을 공항별로 채택할 계...
국토부, 전국 7개 공항 방위각시설 개선…신공항 설계도 수정 2025-01-22 14:33:50
제주공항, 광주공항, 여수공항, 포항경주공항, 사천공항 등 총 7곳으로 확인됐다. 방위각시설이 둔덕에 설치된 경우 둔덕 상단에서부터 활주로 방향으로 흙을 쌓아 경사가 완만한 지형이 되도록 만들 계획이다. 광주공항, 포항경주공항, 김해국제공항, 사천공항 등이 해당한다. 둔덕이 너무 높아 흙을 쌓기 어려운 곳은...
제2의 참사 없도록…전국 공항 '둔덕' 없앤다 2025-01-22 14:24:34
제주국제공항, 광주공항, 여수공항, 포항경주공항, 사천공항(2곳) 등 총 7개 공항의 9개 시설물로 확인됐다. 국토부는 이들 공항의 방위각 시설 기초대를 지하화하는 방안과 경량철골 구조로 교체하는 방안을 설계 과정에서 함께 검토한다. 공항별로 관련 설치 규정을 준수하면서도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전국 공항 '둔덕' 없애고 활주로 안전구역 늘린다 2025-01-22 14:00:02
외에 김해국제공항(2곳), 제주국제공항, 광주공항, 여수공항, 포항경주공항, 사천공항(2곳) 등 총 7개 공항의 9개 시설물로 확인됐다. 국토부는 이들 공항의 방위각 시설 기초대를 지하화하는 방안과 경량철골 구조로 교체하는 방안을 설계 과정에서 함께 검토한다. 공항별로 관련 설치 규정을 준수하면서도 신속하게 추진...
공항별 '맞춤' 시설안전 개선…새로 짓는 공항은 설계부터 적용 2025-01-22 14:00:00
이들 공항은 현재 부지 내에서 안전구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2곳의 안전구역이 모두 92m에 그치는 포항경주공항과 각 122m, 177m로 짧은 사천공항은 공항 부지 외곽으로 안전구역을 추가 확보하거나 EMAS를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안전구역이 최소 기준인 90m인 울산(1곳), 원주(2곳)도...
공항 7곳 9개 시설이 콘크리트 둔덕·구조물…국토부 "개선 필요" 2025-01-13 17:56:43
아니라 광주공항과 여수공항, 포항경주공항에도 콘크리트 둔덕 형태의 방위각 시설 구조물이 있다고 발표했다. 또 김해공항과 사천공항에는 콘크리트 기초가 지면 위로 솟은 시설물이 2개씩 확인됐고, 제주공항에는 H형 철골 형태로 만들어진 구조물이 있다고 설명했다. 사고 여객기와 같은 기종 101대를 특별 안전점검한...
활주로에 '콘크리트 둔덕'…위험시설 줄줄이 2025-01-13 13:34:35
공항(2개)와 사천공항(2개)에는 콘크리트 기초가 일부 땅 위로 튀어나온 구조물이, 제주공항에는 H형 철골 형태의 단단한 구조물이 있었다. 나머지 7개 공항의 26개 시설은 로컬라이저 구조물이 땅에 묻힌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로컬라이저 위치를 보면 인천과 양양공항은 종단안전구역 내에 설치돼 있었으나, 이들...
"콘크리트 둔덕, 또 있다"…국내 공항 전수조사했더니 2025-01-13 13:13:20
김해공항(2개)와 사천공항(2개)에는 콘크리트 기초가 일부 땅 위로 튀어나온 구조물이, 제주공항에는 H형 철골 형태의 단단한 구조물이 있었다. 나머지 7개 공항의 26개 시설은 로컬라이저 구조물이 땅에 묻힌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로컬라이저 위치를 보면 인천과 양양공항은 종단안전구역 내에 설치돼 있었으나, 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