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단독] "못 나가"…月 2000만원 'DDP' 1층 카페에 무슨 일이 2025-02-09 15:09:55
"다른 상가들은 정상적으로 영업을 지속하고 있는데 카페만 퇴거하라는 요구는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상가임대차보호법이 일반 상가의 임대기간을 10년간 보장하는 반면 DDP는 시에서 관리하는 공공건물이라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서울디자인재단은 카페 측의 주장에 대해...
이지스, 명동 '청휘빌딩' 임차인과 명도 소송서 최종 승소 2025-02-07 09:27:59
임대차계약 당시 기간을 1년 미만으로 정했으므로, 상가임대차보호법 적용 대상이며 이에 따라 갱신 요구권을 행사했으므로 임대차계약이 종료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상가임대차보호법 제9조 1항은 상가건물임대차 계약 시 기간의 정함이 없거나 기간을 1년 미만으로 정한 경우 그 기간을 1년으로 본다고 정한다. 하지만...
전매 금지 '지식산업센터 규제법' 5일 만에 철회 2025-02-05 16:58:34
임대차 계약 갱신을 골자로 하는 ‘주택임대차보호법’ 일부 개정안이 제출됐다. 과도한 규제라는 비판에 2주 만에 철회됐다. 업계에선 국회에 제출된 시장 지원 법안을 통과시켜 소비자 보호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국회엔 분양대행업을 관리 대상에 포함하는 ‘부동산서비스산업진흥법’ ‘건축물의 분양에...
주택·상가건물 등 공동상속인의 임대인지위 승계는 어떻게 되나 2025-02-05 15:20:06
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3항은 ‘같은 조 제1항이 정한 대항요건을 갖춘 임대차의 목적이 된 임대주택의 양수인은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에서도 임대상가의 양수인은 임대인 지위를 승계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이는 법률상의 당연승계 규정으로, 임대주택...
복병 만난 남산 힐튼호텔 재개발…"1100억 보상하라" 버티는 양복점 2025-01-24 17:54:18
매각 사실을 알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상가임대차보호법에 따라 10년간 갱신청구권을 사용할 수 있는 만큼 2031년 1월 1일까지 호텔이 정상 영업을 재개한 가운데 영업을 지속할 수 있게 해달라는 입장이다. 이지스자산운용은 지난해 3월 A씨를 상대로 법원에 건물 인도 조정을 신청했으나, 조정 불성립으로 본안...
공유상가서 계약갱신 거절하려면…과반수 동의 필요 [더 머니이스트-아하! 부동산 법률] 2025-01-10 08:30:01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0조 제4항과의 관계에서, 민법 규정의 우선적 적용 범위를 다시 한번 일깨워준 셈입니다. 결국 이번 판결이 보여주는 가장 큰 교훈은 상가 임대차 계약에서 공유자 간 협조가 필수 불가결하다는 점입니다. 갱신 거절과 같은 민감한 문제를 다룰 때는 법률가와의 충분한 상의가 필요하며, 지분의...
영업활동했다면…공장 세입자도 상임법 대상자 [더 머니이스트-아하! 부동산 법률] 2024-12-05 06:30:03
공장을 임대한 세입자도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상임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을까요? 대법원은 최근 판결에서 공장에서 제조뿐 아니라 영업활동이 이뤄진다면 상임법의 적용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중요한 기준(2024다26486)을 제시했습니다. 이번 판결은 공장처럼 상품 제조와 가공이 이뤄지는 장소도 상임법의 보호를 받을...
주택 및 상가 임대차 계약의 ‘자동 갱신’ 규정 이해하기 [한경부동산밸류업센터] 2024-11-13 13:42:01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상가 임대차 계약 만료 후 자동 갱신의 규정 상가 임대차의 경우도 주택과 마찬가지로 계약이 만료되면 묵시적 갱신이 가능합니다. 다만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은 사업 안정성을 중점으로 임차인의 영업 활동을 보호하고 지속할 수 있도록 특별히 규정합니다. 계약 만료 후 상가 계약이...
임차인의 업종 변경, 건물주가 꼭 알아야 할 법적 체크리스트 [한경부동산밸류업센터] 2024-10-19 10:51:01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임차인이 임대차 계약 후, 사업자등록증을 받았다면, 업종을 변경하더라도 기본적인 대항력은 유지됩니다. 즉, 임차인의 업종 변경이 자동으로 대항력을 무효로 만들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임대인 입장에서는 업종 변경이 건물 전체의 이미지나 가치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상가 권리금 분쟁···임대인이 꼭 알아야 할 대응 방안 3가지 [한경부동산밸류업센터] 2024-10-06 15:15:02
상황 분석 및 가이드 최근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이 개정되고 강화되면서 임차인의 권리가 더욱 보호되고 있습니다. 특히 권리금관련 조항이 중요한데, 이 부분을 정확히 이해해야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권리금 회수에 대한 규정은 임차인의 권리 보호를 강화한 대표적인 내용 중 하나인데 이는, 임차인이 계약 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