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친환경船 띄우는 HMM…주요 노선에 대거 투입 2025-01-30 17:44:12
63척이던 컨테이너선 보유량을 지난해 82척으로 크게 늘렸다. 선복량(적재능력)도 같은 기간 38만8526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에서 90만6617TEU로 키웠다. 이렇게 확보한 선박을 새로 개척한 노선에 투입하고 있다. HMM은 다음달 대서양과 인도~유럽 구간에서 새롭게 컨테이너 서비스를 시작한다. 대서양을 횡단해...
HMM, 친환경 선박 투입·새 노선 개발에 '사활' 2025-01-30 16:05:15
63척이던 컨테이너선 보유량을 지난해 82척으로 크게 늘렸다. 선복량(적재능력)도 같은 기간 38만8526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에서 90만6617TEU로 키웠다. 이렇게 확보한 선박을 새로 개척한 노선에 투입하고 있다. HMM은 다음달 대서양과 인도~유럽 구간에서 새롭게 컨테이너 서비스를 시작한다. 대서양을 횡단해...
HMM "1년 안에 2.5조 주주환원" 2025-01-22 17:51:27
155만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의 선복량을, 벌크 사업에서 1256만DWT(순수 화물 적재 톤수)를 확보해 글로벌 톱티어 선사 수준의 사업 역량을 갖춘다는 방침이다. HMM은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한국거래소가 권고하는 ‘지배구조 핵심지표’ 달성률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지배구조 핵심지표는 기업이 지배구조 핵심...
HMM "1년 내 주주환원 2조5천억원 이상으로"…밸류업 계획 공시 2025-01-22 15:18:17
사업에서 155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의 선복량을, 벌크 사업에서 1천256만DWT(순수 화물 적재 톤수)를 확보해 글로벌 선사 수준의 사업 역량을 갖출 계획이다. 이를 위해 컨테이너 사업에는 12조7천억원, 벌크 사업에는 5조6천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HMM은 이번 중장기 성장 및 수익 지표, 주주환원 정책은...
미국 전력망 복구 이슈 속 수혜주는? 2025-01-10 16:56:07
기업은 선복량 증가와 이중 연료 엔진 활용 증가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 상승으로 실적 개선이 기대됨. 또한, 주주환원 정책도 긍정적임. ● 미국 전력망 복구 이슈 속 수혜주는? 미국 내 전력 공급망 쇼티지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에는 LA 산불 소식까지 더해져 전력 관련 섹터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방산 수주 늘고 석유화학 수익성 개선…조선 '수퍼 사이클' 진입 2025-01-01 16:13:18
LNG 운반선도 선복량 증가로 용선료가 떨어지고 있다. 배를 빌리는 비용이 싸면 신조에 투자하려는 심리도 줄어든다. 이에 따라 국내 조선사의 올해 수주량이 작년에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수은은 올해 국내 조선사의 수주가 전년보다 9.5% 감소한 950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에 그칠 것으로 예측했다. 한국 조선사가...
또 꿈틀대는 해상운임…내년 1분기가 정점 2024-12-24 17:43:52
발주한 선박들이 운항을 시작하며 전세계 선복량도 올해보다 5.5% 가량 늘어날 거란 관측입니다. 물류업계에서는 1년 단위 장기운송계약을 주로 맺는 5월을 내년 해상운임의 분수령으로 보고 있습니다. 1분기 고점을 기록하고 운임이 하락세로 전환하는 시기에 장기 계약을 맺게 된다면 수출 기업에 유리한 계약이 이뤄질...
"수출기업·물류업계 74%, 내년 해상운임 상승 기조 전망" 2024-12-23 13:42:45
수에즈운하 대신 희망봉을 우회하면서 실질 선복량이 감소하고 병목 현상이 발생해 운임 상승 압력이 커질 것으로 분석됐다"고 전했다. 아울러 선사들이 수익 극대화를 추구하며 임시 결항과 선박 수리 등을 통해 공급을 제한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미국이 대(對)중국 관세 인상 조처를 할 경우 중국의 밀어내...
[기고] 트럼프 2기의 해상물류 전략 2024-12-22 17:09:41
선복량은 110만TEU를 약간 웃도는 수준으로 글로벌 차원에선 중소선사에 불과하다. 새로운 선박을 건조할 때는 해운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선형을 심사숙고해 선정해야 한다. 미국의 중국 견제로 미·중 교역이 위축되고 중국과 유럽연합(EU)의 교역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지금처럼 대량의 공산품을 중국에서...
트럼프 2기, 관세리스크·항만파업 우려로 운임상승 전망 2024-12-13 09:04:11
라틴아메리카향 항공수요 증가 등 항공수요 흐름의 재편이 전망된다"고 말했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미국의 고율 관세부과가 중국, 캐나다, 멕시코 등의 미국에 대한 보복조치로 이어질 경우 내년 물류시장에서의 불확실성이 확대, 선복량 확보, 물류바우처 지급, 물류인프라 지원 등 기업지원 정책과제를 적극...